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1400970
한자 民謠
영어의미역 Folk Song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개관)
지역 경상남도 양산시
집필자 엄경흠

[정의]

경상남도 양산시 지역에서 자연발생적으로 발생하여 전해오는 민중의 노래.

[개설]

민요의 분류에서는 하나의 기준만 있을 수 없으며, 일정한 기능을 가진 기능요와 그 기능이 일정치 않은 비기능요의 두 가지 형태로 나눌 수 있다. 양산 민요를 기능의 성격에 따라 분류하면 노동요·의식요·유희요로 나눌 수 있다.

노동요는 노동을 하면서 노동의 박자와 맞게 부르는 노래이다. 노동의 종류에 따라 분류되므로 농업노동요가 많다. 의식요는 종교적·주술적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행하는 의식에서 부르는 노래이다. 유희요는 민중들이 개인이나 집단으로 하는 유희에서 부르는 노래이며 동요도 유희요 계열에 속한다. 위의 분류에 속하지 하는 민요는 일반 민요로 분류할 수 있다.

[농업노동요]

1. 「모찌기 소리」와 「모심는 소리」

경상도 교창식(交唱式) 모 노래, 「조리자」·「밀치라 닥치라」·「잦은 모노래」·「설설이」·「왕거무」·「이리흔들」과 같은 것이 있다. 양산시에는 특히 ‘모등지’라고 일컫는 곳도 있다. 모찌기 소리에는 「긴 모찌기 소리」와 「잦은 모찌는 소리」가 있다.

모판의 모를 쪄다가 하루해가 있을 동안에 심어야 하기 때문에 작업은 보통 이른 아침에 행해지게 되는데, 이 시간대에 하는 소리가 「긴 모찌기 소리」다. 「긴 모찌는 소리」를 부르며 모를 쪄 나가다가 지겨운 감이 있거나 일을 더 재촉하여 마쳐야 할 경우 또는 다 쪄갈 무렵에 하는 소리가 「잦은 모찌기 소리」이다. 양산 지역에는 조루자 계열과 밀치라가 대종을 이룬다.

모심는 소리에도 「긴 모심는 소리」와 「잦은 모심는 소리」가 있다. 「긴 모심는 소리」는 교창식 모노래 곡이다. 이 유형의 모심는 소리는 후렴구가 없고, A, B의 두 패로 나뉘어 서로 대귀(對句) 관계에 있는 가사를 교창식으로 부르는 것이다. 「잦은 모심는 소리」는 모찌기 소리와 같은 환경에서 하는 소리다. 「퐁당퐁당 찰 수제비」·「설설이」·「쓸쓸이」·「왕거무」·「이리흔들」 등이 여기에 속한다.

2. 「논매는 소리」

양산 지방은 땅이 비교적 부드러워 호미를 쓸 필요가 없어 손으로 논을 매었다. 이때 부르는 민요로 「이슬털이」·「손더듬이 소리」·「어산영」·「메기고 받음 어산영」·「잦은 논매는 소리 ‘어이야’」·「성화 소리」·「에염싸는 소리」·「오하 저리여」·「상사 소리」 같은 것이 있다. 양산군 자생의 노래로 「저리여 소리」가 있다. 메기고 받으며, 받음구는 ‘오하 저리여’이다.

3. 「장원질 소리」

마지막으로 논을 매는 망시논매기를 하고 귀가할 때에 주인집으로 장원지를 먹으러 가면서 부르던 소리가 「장원질 소리」이다. 농사에서 장원을 한 상머슴이 소를 타고 앞 사람은 나발을 불고, 뒤따르는 농부들은 「에라 소리」, 「칭칭이」, 논맬 때의 「상사 소리」 등을 부르기도 하지만 그냥 풍물만 울리던 곳도 많다.

장면은 넷으로 나눌 수 있는데, 이 장면에서 하는 소리는 다음과 같다. 논에서 나와 길을 가면서 하는 길굿, 주인집 대문 앞에서 하는 문굿, 마당 안에 들어서서 음식을 들기 전 하는 축원 소리, 장원지를 먹고 나서 한바탕 노는 소리. 주인집 문 앞과 마당에 들어가 장원지 먹을 때는 지신풀이곡풍의 축원 소리를 하기도 한다. 「칭칭이」는 먹고 놀 때 파연곡으로 잘 쓰인다.

4. 「도리깨질 소리」

도리깨질은 알곡을 털어내는 과정에서 하는 노동이다. 「도리깨질 소리」는 도리깨로 타작할 때 하는 소리로, 목도리깨가 앞에 서서 내려칠 때면 종도리깨들은 들어올려야 하고 종도리깨들이 내려칠 때는 목도리깨가 들어올려야 한다. 「도리깨질 소리」는 여기 때려라, 저기 때려라 하는 목도리깨의 작업 지시적 말이 내려치고 올리고 하는 리듬에 맞추어 소리를 내다보니 어느 사이 노래가 되어버린 경우로서 농요 형성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해 준다.

노래로 발전하다 보니 단순한 작업 지시적 메김구에서 재미난 가사들이 나오게 되었다. 종도리깨꾼의 받음구로는 ‘옹헤야’, ‘오헤야’가 많다. 그밖에 ‘옹헤야 오헤야’, ‘오헤야 넘어간다’, ‘에야’도 있다. 이 가운데 앞의 둘이 가장 우세하고, 뒤의 것은 앞의 결합형이며, 마지막은 앞의 것의 변화형으로 드문 편이다.

5. 「공상타작 소리」

「공상타작 소리」는 참나무로 만든 개상에다가 볏단을 내리쳐 낱알을 떨구는 작업을 하면서 하던 소리다. 경상남도 양산시 하북면 삼감리 뿐만 아니라 중리에도 이와 유사한 「엇 두루미야」하는 소리가 있다. 두루미야란 볏단을 둘러맨다는 뜻이라고 한다. 「개상질 소리」라고도 한다.

6. 「나무꾼 소리」

「나무꾼 소리」는 가축 먹일 풀을 베러 가거나, 땔감을 하거나 팔 목적으로 나무를 하기 위해 산에 올라가면서 지게목발 장단에 맞추는 소리로 「갈가마구 노래」와 같은 신세타령조의 어사용과 「양산도」 등이 있다. 여럿이 어울려 산에 가는 적이 많기 때문에 받는 소리를 하는 경우들도 있다. 양산 지역에는 양산도가 많이 전파되어 있는데다 애창되기 때문에 여기에 포함시켰다.

7. 「못둑 다지는 소리」

「못둑 다지는 소리」는 무거운 돌에다 동아줄을 여러 가닥 달거나 나무 뭉치에 손잡이를 만들어 여럿이 잡을 수 있도록 되어 있는 터다지는 도구인 망깨로 못둑을 다지거나, 다리를 놓기 위해, 말을 박을 때, 집 지을 터를 다지는 소리로 양산 지역에서는 ‘어이여라 차하’로 받는 차류와 ‘어여로 망깨야’로 받는 망깨류가 수집되었지만 전자가 일반적이다.

8. 「삼삼는 노래」

삼을 재배한 후 삼실을 만들고 베를 짜는 작업 중에서 수확한 삼으로 삼실을 만들기까지의 과정이 삼삼는 노래의 대상이 된다. 양산군의 삼삼는 노래에는 ‘진삼꺄래’ 유형과 ‘쌍금쌍금’ 유형이 있다. 진삼까래류는 드문 편이고 쌍금쌍금곡은 흔하다. 후자는 이곳 여성들의 애창곡이던 만큼 놀 때나 밭일 등을 할 때에도 흥얼거렸음직하다.

9. 「베틀 노래」

양산의 베틀 노래 가사는 ‘천상에 노던 선녀’로 시작하여 베틀의 구성 부분을 조목조목 비유로써 주워섬기는 경향이 보인다. 또한 이러한 「베틀가」의 가사를 칭칭이의 메김구로 쓰곤 한다.

10. 「나물 노래」

나물 노래는 아녀자들이 나물을 캐러 가면서 부르기에 적당한 노래로, 서처자류, 고사리류, 주추캐는 처녀 및 사용해(어산영과 같음)류가 있다. 양산시에서는 서처자 가사를 칭칭이 매김구로 잘 쓰고, 주추캐는 처녀는 흔히 「창부 타령」 곡에 얹어 부른다.

11. 「밭매는 노래」

부녀자들의 밭매는 작업에 부르는 밭매는 노래는 시집살이 계통의 노래들이 제격이다. 사촌형님곡들이 많이 있다.

12. 「펑개 소리」, 기타

양산 지방은 지리적 환경으로 인해 농경지가 침수되기 쉬웠기 때문에 흉년이 든 해는 대나무로 만든 물건으로 생계를 유지하곤 했다고 한다. 죽물(竹物)을 제작하면서 불렀던 소리 등을 따로 수집한 것은 없으나 어산영곡풍의 노래를 불러도 제격일 것으로 보인다.

또 농경지가 협소한데다 물은 풍부하고 땅은 축축한 편이라 물을 푸지 않았던 곳이 많으며, 물을 풀 일이 있어도 혼자 작업하는 정도였던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물 푸는 도구인 펑개로 물을 푸면서 하는 소리로는 혼자 흥얼거렸다는 「펑개 소리」(「용두레질 소리」)가 나오는데 그쳤다. 큰 나무나 무거운 돌을 여럿이 운반할 때의 목도소리 등도 있다. 줄다리기는 했으나 줄메고 나갈 때 풍물만 울리고 노래는 별로 하지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다만 승부가 결정났을 때 「칭칭이」를 불렀다는 곳이 나오는 정도였다.

[의식요]

대표적인 의식요로는 「용신 고사 소리」·「지신풀이」·「상여 소리」 등이 있다. 「용신 고사 소리」는 모를 심은 후, 초벌인 아시논을 매기 전에 집집이 떡을 해 가지고 나와 자기 논에 꽂으며 하는 소리다. 모가 병에 걸리지 말고 아무 탈 없이 쑥쑥 잘 자라 알곡을 맺기를 소원하는 기원제에서 하는 소리로 말하듯이 읊조린다.

정월 보름 지신 밟는 노래인 「지신풀이」는 경상도가 가장 발달하였는데, 양산시의 것도 경상도적인 특색을 지니고 있다. 대문, 마루(성주), 우물, 조왕, 장독, 고방, 소마구간, 굴뚝, 뒷간, 마당, 대문의 순서로 축원을 한다. 소리꾼에 따라서는 사랑채, 큰 방, 작은 방 등에서도 「지신풀이」를 하는 경우도 있다. 집 지을 때, 입춘에도 「지신풀이」를 하기도 한다. 범패는 불교적인 제례에서 하는 소리다.

양산 지역에서는 방에 모셔둔 시신을 장사지내기 위해 모시고 나갈 때 별말을 하지 않는 곳도 많았으나 방의 네 귀퉁이에 들이대면서 동서남북 각각 3회씩 ‘워, 워, 워’하며 널을 밀었다 당기는 곳도 있다. 방문을 나서면서는 문지방에다 칼이나 도끼로 3번 긋는다. 또한 바가지나 사기그릇을 밟거나 던져서 깨기도 한다. 상여를 울러매거나 내릴 때 ‘워, 워, 워’하는 사람도 있고, ‘이---’, ‘오호’하는 곳도 있다. 요령을 흔들어 소리를 내는 곳도 있고 흔들지 않는 곳도 있다.

상두꾼은 선소리꾼 1명과 상여 매는 사람 32명으로 해서 33명으로 구성하는 것이 보통이며, 떠나기 전 마당에서 발인제를 지내면서 소리를 하는데 상주들이 나와서 상여 돈을 건다. 양산의 행상 소리는 타불로 소리와 어기넘차 소리가 일반적이다. 타불로 대신에 동면 외송마을 같은 곳에서는 ‘에헤이 이에’, 철마면 장전리에서는 ‘아어 이여’로 받는다. 묘를 쓸 때는 거의 달구질 소리를 하지 않는데, 아주 드물지만 간혹 하는 사람도 있다.

[유희요 및 동요]

유희요나 동요로는 「달구잽이 노래」·「콩받아라」·「돋아리넘청」·「고사리 꺾는 놀이」·「널뛰는 소리」·「종지 돌리기」·「이거리 저거리」·「콩하나 팥하나」 등의 놀이 노래와 「잠자리 잡는 소리」 및 애기 어르는 소리로 「불매」·「알강달강」·「금자동 은자동」 등이 있다.

[일반 민요]

이상에 속하지 않는 소리는 모두 일반 민요에 포함시켰다. 「엿 타령」·「수영대와 양산복이 노래」·「줌치 노래」·「질로 질로 가다가」·「장 타령」·「각설이」·「화투가」·「국문 뒤풀이」·「애원애기」·「과부 한탄가」·「영감아 꽂감아」·「권주가」·「꿩 타령」·「담방구」·「사친가」·「초한전」·「집장가」 기타 창부타령곡 풍으로 부른 「옥단춘」이나 「초랑제비」 등의 곡이 있다. 여러 유형의 노래들에 골고루 섞여 있는 소리가 칭칭이소리다. 이 소리는 「나물 노래」·「회심곡」·「서처자」 등의 여러 소리에 흥을 돋우는 소리로 존재한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