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양산 통도사 백련암 석가모니후불탱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1403034
한자 梁山通度寺白蓮庵釋迦牟尼後佛幀
영어의미역 Śākyamuni Buddha Painting with Writing of 2nd Year of Dongchi Era in Tongdosa Temple
분야 종교/불교,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물/서화류
지역 경상남도 양산시 하북면 지산리 583[통도사로 108]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조원영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문화재 지정 일시 2002년 8월 14일연표보기 - 양산 통도사 백련암 석가모니후불탱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317호 지정
문화재 지정 일시 2021년 11월 19일 - 양산 통도사 백련암 석가모니후불탱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재지정
성격 불화(佛畫)
제작시기/일시 1863년(철종 14)연표보기
서체/기법 비단 바탕에 채색
소장처 통도사 성보박물관
소장처 주소 경상남도 양산시 하북면 지산리 583[통도사로 108]지도보기
소유자 통도사
문화재 지정 번호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정의]

경상남도 양산시 하북면 지산리 통도사 성보박물관에 있는 조선 후기 불화.

[형태 및 구성]

양산 통도사 백련암 석가모니후불탱(通度寺 白蓮庵 釋迦牟尼後佛幀)은 전반적으로 화면 변색이 심하고, 부분적으로 손상된 흔적이 보인다. 비단 바탕에 채색하였다. 붉은색 안료를 바탕에 바르고 황색 선묘로 도상을 표현하였으나, 황색 선묘가 지금은 칙칙하게 변색되었다.

화면(畵面) 상단 중앙에 항마촉지인(降魔觸地印: 악마를 항복하게 하는 손가락 모양으로, 왼손을 무릎 위에 두고 오른손은 내리어 땅을 가리키는 모습)의 석가여래좌상을 중심으로 좌우 각각 3단으로 나눈 구도이다. 가장 아래쪽 좌우에 협시보살상과 사천왕상, 바로 위쪽에는 8대 보살상이 좌우 4구씩, 가장 위쪽에는 16나한상과 신장상이 좌우로 배치되어 있다.

석가여래의 피부는 황백토를 바르고, 신체 윤곽선은 붉은 선으로 처리하였다. 머리 부분은 먹을 바르고 녹청색으로 윤곽선을 처리하였으며, 녹청색의 선묘는 다소 융기되듯이 묘사하였다. 안면의 눈썹은 융기된 녹청색 선묘로 가늘게 긋고, 눈꺼풀은 검은 가는 선으로 그은 다음 아래 눈꺼풀은 붉은 선으로 그렸다. 눈동자는 갈색을 바른 뒤 먹선으로 테두리를 두르고, 동공 부분은 먹으로 점을 찍었다.

입술은 붉은색[丹色]을 바르고, 붉은색[朱色]으로 윤곽을 처리하였다. 수염은 약간 솟아오른 모양으로 녹청색으로 묘사하였다. 본존과 보살상 외 도상의 피부는 흰색 안료를 바른 뒤 붉은색으로 선묘하였다. 보살상의 머리카락은 먹으로 바른 뒤 녹청색으로 윤곽선을 처리하였다. 사천왕상의 수염은 먹선과 흰색 선으로 세밀하게 묘사하였다.

화면 하단 좌우 양쪽에 각각 화기란(畵記欄)을 두었다. 우측에는 ‘동치이계관허병형전라(同治二季貫虛秉衡全羅)’, 좌측에는 ‘금어덕화돈감행전덕준(金魚德華頓鑑幸佺德峻)’이라는 기록이 있어 1863년(철종 14)에 조성되었음을 알 수 있다.

[특징]

석가모니불 좌우로 3단의 구도를 짰고, 윤곽선을 처리하는 데 마치 융기되듯이 묘사한 점이 매우 독특하다.

[의의와 평가]

안료의 변색과 오염, 바탕천이 일부 떨어져 나가는 등 손상되었지만 화기명과 도상을 정확히 알 수 있어 조선시대 불교 회화사 연구에 귀중한 학술적 자료로 평가된다. 2002년 8월 14일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317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 고시에 의해 문화재 지정번호가 폐지되어 경상남도 문화재자료로 재지정되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