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삼칠루 제영」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1403068
한자 三七樓題詠
영어의미역 Attaches a Subject, Poem Recite in Samchillu Palace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문학
유형 작품/문학 작품
지역 경상남도 양산시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이준규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한시
작가 이흡(李潝)|김이만(金履萬)|안연석(安鍊石)|정수(鄭修)
창작연도/발표연도 조선 후기

[정의]

조선 후기 이흡이 삼칠루 주위의 자연 경관을 감상하며 읊은 오언고시의 한시.

[개설]

삼칠루(三七樓)는 조선 후기 양산 지역 남쪽 감동창(甘同倉)에 있던 누각이다. 삼칠루는 양산군수 권성규(權聖規)가 1693년(숙종 19)에 건립하였는데, 건립 당시 누각 앞에 삼차수(三叉水)와 칠점산(七點山)이 인접하여 삼칠루라 이름 지었다고 한다. 작자인 이흡은 1733년(영조 9) 한 해 동안 양산군수로 재임하였으며, 「삼칠루 제영」은 이흡이 양산군수로 재임한 기간에 쓴 시이다.

[내용]

삼칠루 앞에 펼쳐진 확 트인 경관을 작자 이흡이 시선 가는 곳을 따라 옮겨가며 읊고 있다. 나중엔 시선이 아주 먼 곳까지 이르고 있어, 마침내는 강물·대해·은하수까지 확장되고 있다.

“문 앞은 곧 강물이요/ 강물은 대해에 접하였구나/ 대해는 크고 넓어서 가 없으니/ 부상(扶桑)은 어느 곳에 있는가/ 베로 만든 돛을 긴 하늘에 걸고/ 원근은 배 가는 대로 맡겼노라/ 바람과 구름이 크게 일어날 것 같은데/ 어룡은 서로 보호하면서 지키는구나/ 장차 공자의 뗏목에 비하면서/ 창파(滄波)에 가는 대로 맡겨 둘거나/ 차라리 장량(張良)의 뗏목과 같이/ 돌아오는 길에 은하수를 물을까/ 주저하면서 결정하지 못하는 동안에/ 날은 점점 저물어 감을 보겠구나/ 첨사(詹事)의 장(長)도 점치지 못하였고/ 무함(巫咸)의 무도(巫道)로도 또한 만나지 못하였으리라/ 백구는 본래 빛이 온통 하얀데/ 날아 왔다가 다시 날개를 펴려고 하는구나/ 곧 이것이 나의 벗이 될 만하니/ 내 심사(心事)는 너를 향해 의탁하노라.(門前卽江水 江水接大海 大海浩無際 扶桑何處在 布帆掛長空 遠近任所赴 風雲可奘起 魚龍若相護 將比孔聖桴 滄波自去任 寧同張子槎 河漢問歸路 趦趄不得決 看看日向暮 詹尹旣未卜 巫咸亦難遇 白鷗本晧晧 飛來更欲羽 卽此爲友可 心事向爾付)”

[의의와 평가]

삼칠루의 확 트인 경관은 이흡 뿐만 아니라 김이만(金履萬)·안연석(安鍊石)·정수(鄭修) 등도 시를 짓게 하였다. 경관을 직접 보지 않고서도 시선에서 느껴지는 시원함을 읽을 수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