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1400776
한자 上元
영어의미역 First Full Moon Day
이칭/별칭 상원,원소절,원석
분야 생활·민속/민속
유형 의례/평생 의례와 세시 풍속
지역 경상남도 양산시
집필자 우정임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명절|세시풍속
의례시기/일시 1월 15일[음력]

[정의]

경상남도 양산시에서 음력 1월 15일에 지내는 명절.

[개설]

음력 정월 15일을 상원(上元) 또는 대보름이라 하였는데, 설에 시작된 세수명절(歲首名節)의 끝이기도 하다.

[절차]

대보름 행사는 음력 1월 15일 전날인 14일에 시작된다. 14일 새벽닭이 울면 일어나서 자기 집 퇴비장에서 퇴비 한 짐을 가져다 논에 갖다 붓는다. 이것은 한 해 농사가 시작되었다는 신호이며, 올해도 이렇게 부지런히 농사를 시작하였으니 농사가 풍년이 되게 해달라는 기원의 뜻이 담겨 있다. 14일 낮에는 남자는 나무를 9짐 해야 하고 부인들은 삼베를 아홉 광주리를 삼아야 한다.

농촌에서는 이렇게 14일 하루를 분주하게 일을 하므로 이 날을 여름날이라고도 한다. 대보름날 밤에 뒷동산에 올라가서 달맞이를 했고 아침에는 부럼이라 해서 단단한 과실을 깨물어 마당에 버렸다. 귀밝이술을 마시고 약식을 먹으며 오곡밥을 지어 아홉 번 먹었고, 복쌈이나 솔떡을 만들어 먹었다. 이러한 음식들은 배불리기 위해서 먹는다기보다 민속적인 의미를 지니고 있었다.

경상남도 양산 지역에서는 달밤에 사람들이 모여 줄다리기·석전(石戰)·차전(車戰)놀이·답교(踏橋)·달집태우기·지신밟기·놋다리밟기 등을 했다. 많은 사람들이 모여 새해 첫 만월을 반기며 여러 가지 놀이를 즐기고 흥겨워했다. 대보름날에는 다채로운 민속과 놀이가 행해졌으며 농민들에게 있어서는 가장 한가한 때이다. 그러나 지금 양산에서는 달집태우기와 지신밟기 정도가 행해질 따름이다.

[생활민속적 관련사항]

동쪽 하늘이 붉어지고 대보름달이 솟을 때에 횃불을 땅에 꽂고 두 손을 모아 합장하며 제각기 기원을 한다. 농부는 풍년 들기를 빌고, 도령은 과거에 급제할 것을 빌고, 총각은 장가들기를, 처녀는 시집가기를 기원한다. 그러면 소원이 성취된다고 믿었던 것이다.

대보름달은 남보다 먼저 보는 것이 길한 것으로 여겨져 서로 앞 다투어 산에 올라간다. 대보름달을 보고 1년 농사를 미리 점치기도 하는데, 달빛이 희면 비의 양이 많고 붉으면 한발이 있으며, 달빛이 진하면 풍년이 들고 달빛이 흐리면 흉년이 든다고 한다. 또 달이 남으로 치우치면 해변에 풍년이 들 징조이고, 북으로 치우치면 산촌에 풍년이 든다고 한다.

대보름은 상징적인 측면에서 달·여성·대지의 음성원리(陰性原理)에 의한 명절로 달은 곧 물의 여신이므로 대보름과 농경문화는 밀접한 관련이 있다. 땅과 달을 여성으로 여긴 것은 오랫동안 전해온 지모신(地母神)의 생산력 관념에서 나온 것이다.

대보름은 설 명절의 마지막이자 이날 이후부터 본격적으로 농사일을 하게 되므로 점복·금기 등이 유난히 많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