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잦은 모찌기」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1401001
영어의미역 Song of removing the young rice plants from the seedbed
이칭/별칭 쓸쓸이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문화유산/무형 유산
유형 작품/민요와 무가
지역 경상남도 양산시 물금읍 가촌리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엄경흠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민요|노동요
형성시기 현대
토리 메나리토리
기능구분 노동요
형식구분 교창
가창자/시연자 박순덕

[정의]

경상남도 양산시 물금읍 가촌리에서 모판에 모를 찔 때 부르는 농업노동요.

[개설]

긴 모찌는 소리를 부르며 모를 쪄 나가다가 좀 지겨운 감이 있거나, 일을 더 재촉하여 마쳐야 할 경우 또는 다 쪄갈 무렵에 일을 재촉하려고 부르는 소리이다.

[채록/수집상황]

1987년 이소라가 경상남도 양산시 물금읍 가촌리에서 박순덕(여, 당시 62세)의 창을 채록하였다. 박순덕 창자는 경상남도 양산 지역에서 출생하여 경상남도 양산시 물금읍 가촌리로 시집을 온, 양산 지역의 토박이다.

[구성 및 형식]

한 사람이 먼저 노래하고, 다른 이가 대구가 되는 내용을 뒤에 하는 교환창의 형식이다.

[내용]

쓸쓸이 어데 갔소/ 쓸쓸이 산에 갔소/ 있더마 볼랐더니/ 오거들랑 보고가소/ 앞에는 국화정자/ 뒤에는 감자정자/ 어화 그 정자 놀기 좋다/ 놀기 좋거든 놀다가 가소

[현황]

모찌는 소리는 긴 모찌는 소리와 잦은 모찌는 소리로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인데, 노동의 속도나 심리적 변화가 필요할 때 바꿔가며 부른다. 이러한 모찌는 소리는 이모작 지역이라면 전국 어느 곳에나 분포되어 있고, 경상남도 양산시 전역에도 고루 분포되어 있다. 노랫말이 서로 대구적 관계에 있는 것은 경상도 교창식 모노래의 한 특징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