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조선시대 새로 축조된 양산읍성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14E010202
지역 경상남도 양산시 중부동|북부동
시대 조선/조선
집필자 이종봉

양산읍성은 신라시대에 만들어져서 여러 번의 재건축으로 모양은 조금씩 바뀌었지만 그 정신은 그대로 이어져왔다. 이 읍성이 본격적으로 증축되었던 것은 조선시대 문종 원년(1451)과 성종 24년(1492)에 증축되기에 이르렀다. 『신증동국여지승람』의 기록에는 읍성의 규모도 함께 기록되어 있는데, 읍성은 석축이며 둘레가 3710척, 높이고 13척, 성 안에 우물 6개와 못 1개가 있다고 있다.(『신증동국여지승람』 권22, 양산군)

이 척수를 영조척(31.24㎝)으로 환산하면 성곽의 둘레는 약 1.2㎞, 높이는 약 416㎝였음을 알 수 있다. 이 기록을 볼 때 양산읍성은 큰 읍성은 아니라도 인근의 동래, 울산의 읍성보다는 규모가 약간 크다고 할 수 있다. 읍성의 기본적인 형태는 조선후기까지 변함이 없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웹사이트 플러그인 제거 작업으로 인하여 플래시 플러그인 기반의 도표, 도면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를 잠정 중단합니다.
표준형식으로 변환 및 서비스가 가능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순차적으로 변환 및 제공 예정입니다.

현재 잔존한 성벽

현재 잔존한 성벽은 중부동 211-1번지의 담장 외곽과 접한 몇 미터 정도 밖에 없다. 성은 길고 큰 돌(90×20㎝ 정도)을 옆으로 쌓아 기단부를 마련하고, 그 위에 약 20㎝ 정도를 뒤로 물려서 큰 바위(150×130㎝ 정도)의 반듯한 면이 밖으로 나오게 쌓았다. 성벽은 벽돌 쌓는 식으로 어긋나게 쌓고 그 틈새는 작은 돌로 메웠다. 성벽 안쪽은 남아있는 상태가 좋지 못하여 잘 관찰되지 않은 편이지만 벽면의 내외 사이는 잡석으로 채웠다. 읍성 내에는 각종 관청과 백성이 거주하는 가옥(집)이 있었다.

 

웹사이트 플러그인 제거 작업으로 인하여 플래시 플러그인 기반의 도표, 도면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를 잠정 중단합니다.
표준형식으로 변환 및 서비스가 가능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순차적으로 변환 및 제공 예정입니다.

작은 돌로 메운 틈새

당시 읍성 내에 거주하는 백성들은 읍내민이라 하여 읍성 외부에 거주하는 백성들에 대해서 어떤 특권 의식을 가지고 있었다. 관청은 여러 건물로 이루어져 있는데, 그들의 중심에는 동헌과 객사가 위치하고 있었다. 동헌은 양산에 거주하는 수령이 업무를 보는 장소로, 양산읍성 내의 가장 대표적인 건물이다. 건물의 명칭은 양산의 별도의 이름인 의춘(宜春)을 따서 의춘당(宜春堂)이라 하였다.

 

웹사이트 플러그인 제거 작업으로 인하여 플래시 플러그인 기반의 도표, 도면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를 잠정 중단합니다.
표준형식으로 변환 및 서비스가 가능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순차적으로 변환 및 제공 예정입니다.

동헌

동헌의 위치는 양산시 북부동 327-2번지로 현재 중앙동사무소가 있는 곳이다. 의춘당은 남쪽으로 향하고 있었는데, 그것은 읍성이 위치하고 있는 지형과 연관을 가진다. 객사는 동헌과 함께 지방군현 관청의 중심이다. 객사 건물의 중앙에 임금을 상징하는 위패, 즉 궐패(闕牌)와 전패(殿牌)를 모셔놓고 초하루와 보름(음력 1일과 15일)에 지방 수령이 대궐을 향해 제사를 올리는 곳이다. 따라서 양산객사에 모셔놓은 위패는 살아있는 임금을 상징하므로 일반적인 사당과는 그 의미가 전혀 다르다.

 

웹사이트 플러그인 제거 작업으로 인하여 플래시 플러그인 기반의 도표, 도면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를 잠정 중단합니다.
표준형식으로 변환 및 서비스가 가능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순차적으로 변환 및 제공 예정입니다.

객사

이밖에 성의 규모와 내부 시설물을 추정할 수 있는 자료로는 『양산군읍지(梁山郡邑誌)』와 「후지(後誌)」, 「지보(誌補)」의 기록과 현전하는 지명을 들 수 있다. 이 기록에 의하면 성내 시설물은 군사(郡司), 작청(作廳), 군관청(軍官廳), 서원청(書員廳), 장관청(將官廳), 선무청(選武廳), 별기청(別騎廳), 토포청(討捕廳), 사령청(使令廳), 관노청(官奴廳), 「지보」에는 별포청(別砲廳) 등이 있었다. 성문은 북문, 동문, 서문, 3개가 있었고, 1개의 문루와 그 앞에 세워진 홍살문을 남문으로 칭하여 동서남북 사대문의 존재를 기록하고 있다. (『양산읍지초』 성곽조)

그리고 지명에 의하면 읍성의 외곽 범위를 추정할 수 있는 동문터(중부동 동쪽), 남문터(중부동 269번지), 북문터(북부동 22번지) 등이 남아 있는데 대체로 현재의 중부동, 남부동, 북부동에 걸쳐 있다. 성내 시설물을 추정할 수 있는 자료로는 객사터(북부동 389번지), 사창걸(옛 양산군청 앞), 옥골(남부2동의 남쪽, 현 시청 부근) 등과  쌍벽루(중부동 386번지), 모포정(菖蒲亭, 옛 양산군청 앞, 읍창) 등이 전해진다. 이상 여러 문헌상의 기록과 잔존성벽, 성과 관련된 현전지명 등을 통해 볼 때 양산읍성은 기존 성벽을 토대로 신문왕 7년(687년)에 처음으로 축성되어 현재의 중부동을 중심으로 남부동북부동 일부에 걸쳐진 둘레 약 1.2㎞의 내축식 석축성으로 추정된다.

 

웹사이트 플러그인 제거 작업으로 인하여 플래시 플러그인 기반의 도표, 도면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를 잠정 중단합니다.
표준형식으로 변환 및 서비스가 가능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순차적으로 변환 및 제공 예정입니다.

남문터(중부동 269번지)

 

웹사이트 플러그인 제거 작업으로 인하여 플래시 플러그인 기반의 도표, 도면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를 잠정 중단합니다.
표준형식으로 변환 및 서비스가 가능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순차적으로 변환 및 제공 예정입니다.

사창걸(옛 양산군청 앞)

 

웹사이트 플러그인 제거 작업으로 인하여 플래시 플러그인 기반의 도표, 도면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를 잠정 중단합니다.
표준형식으로 변환 및 서비스가 가능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순차적으로 변환 및 제공 예정입니다.

옥골(남부2동의 남쪽, 현 시청부근)

 

웹사이트 플러그인 제거 작업으로 인하여 플래시 플러그인 기반의 도표, 도면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를 잠정 중단합니다.
표준형식으로 변환 및 서비스가 가능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순차적으로 변환 및 제공 예정입니다.

쌍벽루(중부동 386번지)

 

웹사이트 플러그인 제거 작업으로 인하여 플래시 플러그인 기반의 도표, 도면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를 잠정 중단합니다.
표준형식으로 변환 및 서비스가 가능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순차적으로 변환 및 제공 예정입니다.

모포정(菖蒲亭, 옛 양산군청 앞, 읍창)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