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5500839
한자 密城朴氏三友亭派宗中古文書
이칭/별칭 삼우정파 소장 고문서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기록 유산
유형 문헌/전적
지역 경상북도 청도군 금천면 임당리 773
시대 조선/조선
집필자 이광우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문화재 지정 일시 1996년 1월 19일연표보기 - 밀성박씨 삼우정파 종중 고문서 보물 제1237호로 지정
문화재 지정 일시 2021년 11월 19일 - 밀성박씨 삼우정파 종중 고문서 보물 재지정
소장처 임호 서원 - 경상북도 청도군 금천면 임당리 773지도보기
기탁처 국립 대구 박물관 - 대구광역시 수성구 황금동 70
성격 고문서|전적
행자 행자수부정
어미 상하 내향 삼엽 화문 어미[선무원종 공신녹권]
문화재 지정 번호 보물

[정의]

경상북도 청도군 금천면 임호 서원에 소장된 조선 시대 밀성박씨 삼우정파 종중 고문서.

[개설]

밀성박씨 삼우정파 종중 고문서(密城朴氏 三友亭派 宗中 古文書)임진왜란 당시 경상도 청도군 출신으로 의병 활동을 전개하였던 밀성박씨(密城朴氏) 문중의 박경신과 두 아들 박지남, 박철남에 관련된 4종 17점의 고문서이다. 이들 문서는 청도 임호 서원(林湖書院)에 소장되어 있으며, 밀성박씨 삼우정파 종중에서 소유하고 있다.

삼우정(三友亭) 박경신(朴慶新)[1539∼1594]과 박경신의 쌍둥이 아들 박지남(朴智男)[1565∼1626], 박철남(朴哲男)[1565∼1611]은 임진왜란 때 의병을 일으키며 많은 무공을 세워 나란히 공신으로 책훈되었다. 박경신 부자의 공을 기리기 위해 여러 문적들이 작성되었다. 임호 서원박경신 부자를 배향한 서원이기도 하다. 이 중에서도 4종 17점의 문서는 문화재적 가치를 인정받아 1996년 1월 19일 보물 제1237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 고시에 의해 문화재 지정번호가 폐지되어 보물로 재지정되었다. 현재 밀성박씨 삼우정파 종중 고문서는 국립 대구 박물관에 위탁·관리되고 있다.

[편찬/간행 경위]

과거 급제한 박경신이 모친으로부터 노비와 전답을 받으며 작성한 별급 문기(別給文記) 1점이 16세기 후반에 작성되었고, 박경신과 그의 처가 증직될 때 받은 교지(敎旨) 2점이 19세기 전반에 작성되었다. 유지(有旨) 13점은 임진왜란 중 국가에서 박경신 부자에게 발급한 것이며, 공신녹권(功臣錄券)은 전란 이후에 작성·발급된 내사본(內賜本)이다.

[형태/서지]

(1) ‘절지수교서내범참왜일급이상자개록위공신역유지-만력 20년 11월 17일(節祗受敎書內凡斬倭一級以上者皆錄爲功臣亦有旨-萬曆二十年十一月十七日)’의 크기는 가로 58.2㎝, 세로 44.6㎝이고, 1매로 이루어졌으며, 행자수부정(行字數不定)이고, 관서 인장(印章) 3개, 서압(署押) 2개가 있다.

(2) ‘절지수교서내범참왜일급이상자개록위공신역유지-만력 20년 12월 21일(節祗受敎書內凡斬倭一級以上者皆錄爲功臣亦有旨-萬曆二十年十二月二十一日)’의 크기는 가로 58.9㎝, 세로 43.9㎝이고, 1매로 이루어졌으며, 행자수부정이고, 관서 인장 3개, 서압 2개가 있다.

(3) ‘절지수교서내범참왜일급이상자개록위공신역유지-만력 21년 2월 초 2일(節祗受敎書內凡斬倭一級以上者皆錄爲功臣亦有旨-萬曆二十一年二月初二日)’의 크기는 가로 57.1㎝, 세로 41.2㎝이고, 1매로 이루어졌으며, 행자수부정이고, 관서 인장 3개, 서압 1개가 있다.

(4) ‘절지수교서내범참왜일급이상자개록위공신역유지-만력 21년 2월 초 3일(節祗受敎書內凡斬倭一級以上者皆錄爲功臣亦有旨-萬曆二十一年十二月初三日)’의 크기는 가로 56.3㎝, 세로 42.3㎝이고, 1매로 이루어졌으며, 행자수부정이고, 관서 인장 3개, 서압 1개가 있다.

(5) ‘절지수교서내범참왜일급이상자개록위공신역유지-만력 21년 2월 16일(節祗受敎書內凡斬倭一級以上者皆錄爲功臣亦有旨-萬曆二十一年十二月十六日)’의 크기는 가로 58.8㎝, 세로 42.4㎝이고, 1매로 이루어졌으며, 행자수부정이고, 관서 인장 3개, 서압 1개가 있다.

(6) ‘절지수교서내범참왜일급이상자개록위공신역유지-만력 21년 2월 29일(節祗受敎書內凡斬倭一級以上者皆錄爲功臣亦有旨-萬曆二十一年十二月二十九日)’의 크기는 가로 57.2㎝, 세로 42.5㎝이고, 1매로 이루어졌으며, 행자수부정이고, 관서 인장 3개, 서압 1개가 있다.

(7) ‘절지수교서내범참왜일급이상자개록위공신역유지-만력 21년 3월 초 3일(節祗受敎書內凡斬倭一級以上者皆錄爲功臣亦有旨-萬曆二十一年十三月初三日)’의 크기는 가로 58.4㎝, 세로 42.5㎝이고, 1매로 이루어졌으며, 행자수부정이고, 관서 인장 3개, 서압 1개가 있다.

(8) ‘절지수교서내범참왜일급이상자개록위공신역유지-만력 21년 3월 12일(節祗受敎書內凡斬倭一級以上者皆錄爲功臣亦有旨-萬曆二十一年三月十二日)’의 크기는 가로 58.9㎝, 세로 42.3㎝이고, 1매로 이루어졌으며, 행자수부정이고, 관서 인장 3개, 서압 1개가 있다.

(9) ‘절지수교서내범참왜일급이상자개록위공신역유지-만력 21년 정월 16일(節祗受敎書內凡斬倭一級以上者皆錄爲功臣亦有旨-萬曆二十一年正月十六日)’의 크기는 가로 57.2㎝, 세로 42.5㎝이고, 1매로 이루어졌으며, 행자수부정이고, 관서 인장 3개, 서압 2개가 있다.

(10) ‘절지수교서내범참왜일급이상자개록위공신역유지-만력 21년 3월 초 2일(節祗受敎書內凡斬倭一級以上者皆錄爲功臣亦有旨-萬曆二十一年三月初二日)’의 크기는 가로 52.2㎝, 세로 41.1㎝이고, 1매로 이루어졌으며, 행자수부정이고, 관서 인장 3개, 서압 1개가 있다.

(11) ‘절지수교서내범참왜일급이상자개록위공신역유지-만력 21년 정월 18일(節祗受敎書內凡斬倭一級以上者皆錄爲功臣亦有旨-萬曆二十一年正月十八日)’의 크기는 가로 53.2㎝, 세로 42.4㎝이고, 1매로 이루어졌으며, 행자수부정이고, 관서 인장 3개, 서압 2개가 있다.

(12) ‘절지수교서내범참왜일급이상자개록위공신역유지-만력 21년 정월 20일(節祗受敎書內凡斬倭一級以上者皆錄爲功臣亦有旨-萬曆二十一年正月二十日)’의 크기는 가로 55.8㎝, 세로 42.4㎝이고, 1매로 이루어졌으며, 행자수부정이고, 관서 인장 3개, 서압 1개가 있다.

(13) ‘절지수교서내범참왜일급이상자개록위공신역유지-만력 21년 2월 26일(節祗受敎書內凡斬倭一級以上者皆錄爲功臣亦有旨-萬曆二十一年二月二十六日)’의 크기는 가로 55.8㎝, 세로 42.4㎝이고, 1매로 이루어졌으며, 행자수부정이고, 관서 인장 3개, 서압 2개가 있다.

(14) ‘선무원종 공신녹권(宣武原從功臣錄券)’은 1책으로, 사주 쌍변(四周雙邊)이며, 반곽(半廓)의 크기는 가로 18.8㎝, 세로 30㎝이다. 자수(字數)는 11행(行) 21자(字)이고, 어미는 상하 내향 삼엽 화문 어미(上下內向三葉花紋魚尾)이며, 총 크기가 가로 22㎝, 세로 34.3㎝이다.

(15) ‘박경신 교지–가경 21년 8월 일(朴慶新 敎旨-嘉慶二十一年八月日)’의 크기는 가로 90㎝, 세로 73㎝이고, 1매로 이루어졌으며, 행자수부정이고, 관서 인장 1개가 있다.

(16) ‘숙부인 예씨 교지–가경 21년 8월 일(淑夫人 芮氏 敎旨-嘉慶二十一年八月日)’의 크기는 가로 90㎝, 세로 64㎝이고, 1매로 이루어졌으며, 행자수부정이고, 관서 인장 1개가 있다.

(17) ‘별급 문기(別給文記)’의 크기는 가로 55㎝, 세로 95㎝이고, 1매로 이루어졌으며, 행자수부정이고, 인장 1개, 서압 3개가 있다.

[구성/내용]

(1) ‘절지수교서내범참왜일급이상자개록위공신역유지-만력 20년 11월 17일’은 박경신이 1592년 11월 10일 율림(栗林) 접전에서 참왜 1과(顆) 한 공을 순찰사(巡察使)가 인정하며 내린 유지이다. 그리고 박경신은 공신 4등이 되었다. 당시 조정에서는 순찰사에게 일본군의 머리를 베면 공신으로 인정하라고 교서를 내려었다. 13점에 달하는 박경신 부자의 유지도 조정의 명령에 따라 순찰사가 발급한 것이다. 유지에는 해당 인물이 공을 세운 날짜와 일본군의 머리를 벤 전투나 장소, 벤 머리 수, 전후 사정, 공신으로 올려 주는 등급, 유지 발급 날짜가 기재되어 있으며, 마지막에는 순찰사와 도사(都事)의 서압이 확인된다.

(2) ‘절지수교서내범참왜일급이상자개록위공신역유지-만력 20년 12월 21일’은 청도 조전장(助戰將) 박경신이 참왜 4과 하고, 공신 3등이 되는 것을 인정하기 위해 순찰사가 발급한 것이다.

(3) ‘절지수교서내범참왜일급이상자개록위공신역유지-만력 21년 2월 초 2일’은 청도 조전장 박경신이 참왜 6과 하고, 공신 2등이 되는 것을 인정하기 위해 순찰사가 발급한 것이다.

(4) ‘절지수교서내범참왜일급이상자개록위공신역유지-만력 21년 2월 초 3일’은 청도 조전장 박경신이 참왜 7과 한 공을 인정하기 위해 순찰사가 발급한 것이다.

(5) ‘절지수교서내범참왜일급이상자개록위공신역유지-만력 21년 2월 16일’은 청도 조전장 박경신이 참왜 8과 한 공을 인정하기 위해 순찰사가 발급한 것이다.

(6) ‘절지수교서내범참왜일급이상자개록위공신역유지-박경신 만력 21년 2월 29일’은 청도 조전장 박경신이 참왜 11과 하고, 공신 1등이 되는 것을 인정하기 위해 순찰사가 발급한 것이다.

(7) ‘절지수교서내범참왜일급이상자개록위공신역유지-만력 21년 3월 초 3일’은 청도 조전장 박경신이 참왜 12과 한 공을 인정하기 위해 순찰사가 발급한 것이다.

(8) ‘절지수교서내범참왜일급이상자개록위공신역유지-만력 21년 3월 12일’은 청도 조전장 훈련 판관(訓鍊 判官) 박경신이 참왜 13과 한 공을 인정하기 위해 순찰사가 발급한 것이다.

(9) ‘절지수교서내범참왜일급이상자개록위공신역유지-만력 21년 정월 16일’은 청도의 한량(閑良) 박지남이 1593년 1월 8일에 벌어진 서신리(鋤臣里) 접전에서 참왜 1과 하고 공신 4등이 되는 것을 인정하기 위해 순찰사가 발급한 것이다.

(10) ‘절지수교서내범참왜일급이상자개록위공신역유지-만력 21년 3월 초 2일’은 청도 한량 박지남이 참왜 2과 하고 공신 3등이 되는 것을 인정하기 위해 순찰사가 발급한 것이다.

(11) ‘절지수교서내범참왜일급이상자개록위공신역유지-만력 21년 정월 18일’은 청도 한량 박철남이 1593년 1월 9일 무둔리(無屯里) 접전에서 참왜 1과 하고 공신 4등이 되는 것을 인정하기 위해 순찰사가 발급한 것이다.

(12) ‘절지수교서내범참왜일급이상자개록위공신역유지-만력 21년 정월 20일’은 청도 한량 박철남이 참왜 2과 하고 공신 3등이 되는 것을 인정하기 위해 순찰사가 발급한 것이다.

(13) ‘절지수교서내범참왜일급이상자개록위공신역유지-만력 21년 2월 26일’은 청도 한량 박철남이 참왜 4과 한 공을 인정하기 위해 순찰사가 발급한 것이다.

(14) ‘선무원종 공신녹권’은 1605년(선조 38) 임진왜란 때 공을 세운 인물들에 대해 포상을 하였는데, 이때 박경신 부자가 받은 공신녹권이다.

(15) ‘박경신 교지–가경 21년 8월 일’은 1816년(순조 16) 박경신의 충직을 기리기 위해 박경신을 절충장군 첨지중추부사(折衝將軍 僉知中樞府事)에서 가선대부 병조참판 겸 동지의금부사 훈련원도정(嘉善大夫 兵曹參判 兼 同知義禁府事 訓鍊院都正)으로 증직(贈職)하면서 국왕이 내린 교지이다.

(16) ‘숙부인 예씨 교지–가경 21년 8월 일’은 1816년 지아비 박경신이 증직될 때, 아내였던 예씨도 숙부인에서 정부인(貞夫人)으로 증직되었는데, 이때 내려진 교지이다.

(17) ‘별급 문기’는 1579년(선조 12) 7월 모친 장씨(張氏)가 아들 박경신에게 재산을 별급하며 작성한 문서이다. 모친 장씨는 아들 박경신이 무과에 장원 급제하고 곧이어 관직에 임명됨에 따라, 이를 축하하기 위해 별도로 노비와 전답을 분급해 주었다.

[의의와 평가]

임진왜란 당시 청도 지역 의병장들의 활동과 정부의 의병 활동 장려책의 일면을 살펴볼 수 있게 해 주는 자료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