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6300118
한자 -
영어공식명칭 Dolmen
이칭/별칭 지석묘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경상남도 거창군
시대 선사/청동기
집필자 문백성

[정의]

경상남도 거창군에 분포하는 청동기 시대의 돌무덤.

[개설]

청동기 시대 고인돌은 지상에 드러나 있는 덮개돌과 그 밑에 고임돌, 묘역 시설, 매장 주체부[무덤방] 등이 있는 구조이다. 고인돌은 외형적 형태에서 크게 탁자식, 기반식, 개석식, 위석식 등으로 구분되며, 매장 주체부는 판돌로 된 돌널형[석관형], 깬돌이나 강돌로 쌓은 돌덧널형[석곽형], 구덩이만 있는 움형[토광형], 상석 아래에 돌만 돌려진 돌두름형[위석형] 등으로 나누어진다. 무덤 내 출토 유물은 돌칼, 돌화살촉, 붉은 간 토기, 가지 무늬 토기, 청동기, 옥류 등이 있다. 거창군에 분포하는 고인돌은 북방식으로 불리기도 하는 탁자식을 비롯하여 덮개돌 아래에 고임돌을 놓은 바둑판 형태의 남방식으로 부르는 기반식, 고임돌이 없는 개석식, 덮개돌 아래에 돌두름형의 무덤 형태로 이루어진 위석식 등의 다양한 형태가 확인된다. 특히 영남 지역에서는 거의 찾아볼 수 없는 탁자식의 내오리 고인돌과 완대리 고인돌은 탁자식 고인돌의 전파 및 한국 고인돌의 전개 양상에 대한 중요한 고고학 자료로 평가된다.

[거창 지역의 고인돌 형태와 현황]

거창 지역의 청동기 시대 고인돌은 거창 분지 중앙을 흐르는 황강황강 동쪽의 가조 분지 가운데 북에서 남으로 흘러 황강에 유입되는 가천천, 황강 서쪽의 남덕유산에서 흘러 황강에 합류하는 위천 등의 황강황강의 지류 하천 주변의 충적지에 주로 분포한다. 황강 본류 주변의 고인돌은 가장 북쪽의 주상면에 내오리 고인돌 떼, 완대리 고인돌, 도평리 고인돌 떼 등이 황강을 따라 위치한다. 경상남도 기념물 제65호로 지정된 내오리 고인돌과 완대리 고인돌은 넓은 판돌 3매 또는 4매로 ㄷ자나 ㅁ자로 짜 맞춘 무덤방을 지상에 축조한 탁자식 고인돌이다. 탁자식 고인돌은 한강 이북 지역에 주로 분포하며 고창, 해남 등의 남부 지방에서 일부 확인된다. 황강 상류에 위치한 내오리 고인돌과 완대리 고인돌은 탁자식 고인돌의 남방 한계선 및 거창 지역 고인돌 축조 집단의 교류 등을 알 수 있는 유적으로 주목된다. 위천에 합류한 황강 주변의 범람원에는 남상면의 월평리 평촌 고인돌 떼, 남하면무릉리 고인돌 떼무릉리 산포 고인돌 떼, 대야리 고인돌 등이 분포하고 있다. 가조면가천천 주변에는 마상리 상마 고인돌 떼와 상마 선돌, 사병리 창촌 고인돌 떼와 창촌 선돌, 생초 고인돌생초 선돌 등의 고인돌과 선돌이 조합을 이루고 있다. 황강 서쪽의 위천에는 북상면농산리 고인돌 떼마리면의 월계리 월화 고인돌 떼, 거창읍상림리 상동 고인돌 떼 등이 분포되어 있다.

거창 지역에서 발굴 조사가 이루어진 고인돌은 합천댐 수몰 지구에 포함된 남하면대야리 고인돌무릉리 산포 고인돌, 남상면월평리 평촌 고인돌 등으로 1986년과 1987년 동의 대학교 박물관에서 발굴 조사하였다. 대야리 고인돌은 4기의 고인돌이 확인되었으며, 그중 2기에서 각각 간 돌칼 1점과 다량의 간 돌화살촉이 출토되었다. 무릉리 산포 고인돌 떼는 33기의 고인돌이 5열을 이루며 연접하여 무리를 이루고 있다. 조사된 고인돌 중 21기는 덮개돌과 묘역 시설 그리고 매장 주체부가 결합되어 있다. 고인돌 6기는 상부의 덮개돌은 확인되지 않고 묘역 시설과 매장 주체부만 확인되며, 나머지 6기는 매장 주체부만 확인된다. 덮개돌은 14기는 괴석상의 대형이며, 7기는 판상으로 소형이다. 유물은 3기에서만 간 돌칼과 간 돌화살촉이 출토되었다. 무릉리 산포 고인돌과 같이 묘역 시설이 연접되어 다수의 고인돌이 무리를 이루고 있는 경우는 중심 마을과 다수의 주변 마을에서 만든 공동묘지로 인식하기도 한다. 월평리 평촌 고인돌은 3기의 고인돌이 발굴 조사되었으며, 고인돌 1기에서 간 돌칼 1점이 출토되었다. 거창 지역에서 발굴 조사된 고인돌은 현재 적은 수에 불과하기 때문에 거창 지역의 고인돌 구조와 마을 연구 등에 한계가 있다. 향후 추가 발굴 조사로 거창 지역 고인돌 문화 및 청동기 시대 문화의 특징이 명확해질 것으로 기대된다.

[참고문헌]
이용자 의견
지** - → 支石墓

한자명 수정해주세요.
  • 답변
  •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을 이용해주셔서 감사합니다.
    항목명은 한자와 한글을 1대 1로 일치시키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습니다. 제기하신 의견은 수용할 수 없음을 알려드립니다. 앞으로도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2020.07.25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