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6300715 |
---|---|
한자 | 金麟淳 府使 永世不忘碑 |
영어공식명칭 | Memorial Tablet of Gim Insoon |
분야 |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
유형 | 유적/비 |
지역 | 경상남도 거창군 거창읍 수남로 2181[김천리 216-5] |
시대 | 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조익현 |
건립 시기/일시 | 1810년 - 김인순 부사 영세불망비 세움 |
---|---|
이전 시기/일시 | 1988년 - 김인순 부사 영세불망비 경상남도 거창군 거창읍 대동리 비선 거리에서 경상남도 거창군 거창읍 김천리 거창 박물관 야외 전시장으로 이전 |
현 소재지 | 김인순 부사 영세불망비 - 경상남도 거창군 거창읍 김천리 216-5 |
원소재지 | 김인순 부사 영세불망비 - 경상남도 거창군 거창읍 대동리 비선 거리 |
성격 | 비|선정비 |
재질 | 화강암[귀부와 이수]|대리석[비신] |
크기(높이, 너비, 두께) | 165㎝[높이]|61㎝[너비]|19㎝[두께] |
관리자 | 거창군청 |
[정의]
경상남도 거창군 거창읍 거창 박물관 야외 전시장에 있는 조선 후기에 세운 거창 부사 김인순의 선정을 기리는 비.
[개설]
김인순의 본관은 안동(安東)이며, 청음(淸陰) ’김상헌(金尙憲)의 후손이다. 영은 부원군(永恩府院君) 김문근(金汶根)의 아버지이고, 고종 초기의 영의정 김병국(金炳國), 김병학(金炳學)의 할아버지이다. 1808년(순조 8)부터 1810년(순조 10)까지 거창 부사로 재임하면서 많은 시문을 남겼다.
[건립 경위]
거창 부사로 재임 중 흉년에 빈민을 구제하고, 허물어진 용천 정사(龍泉精舍)를 중수하도록 지원하는 등 선정을 베풀어 지방민들이 1810년(순조 10) 10월에 선정비를 세웠다.
[위치]
경상남도 거창군 거창읍 김천리 216-5에 있는 거창 박물관 야외 전시장에 다른 선정비들과 함께 세워져 있다.
[형태]
비의 귀부는 눈, 코, 입이 익살스러운 모습으로 조각되어 있다. 비신의 재질은 대리석으로 전면에 비문이 새겨져 있다. 이수는 얕은 부조로 용이 조각되어 있다. 전체 높이 242㎝이며, 비신의 높이는 165㎝, 너비는 61㎝, 두께는 19㎝이다.
[금석문]
비의 제목은 ‘부사 김공 인순 영세불망비(府使金公麟淳永世不忘碑)’이고, 8줄의 4연시가 새겨져 있다. 비문의 내용은 "학여정금(學如精金)[학문은 정교하게 다듬은 금과 같고] 인유서린(仁猶瑞麟)[어지심은 마치 상서로운 기린 같으셨소] 출재겸세(出宰謙歲)[흉년 든 해에 고을살이 오셔서] 입아기민(立我飢民)[우리 굶주린 백성들 쌀밥 먹게 하셨네] 무성세우(無聲細雨)[소리 없는 가랑비처럼 베푸셔서] 유각양춘(有脚陽春)[따스한 봄철에 들어섰도다] 편석장유(片石長留)[얄팍한 비석 오래도록 남아서] 만고불인(萬古不湮)[만고토록 없어지지 않으리] 경오 10월 일(庚午十月 日)[1810]"이다.
[현황]
거창군 거창읍 대동리 비선 거리에 있던 비를 1988년 거창 박물관을 개관하면서 거창 박물관 야외 전시장으로 옮겼다.
[의의와 평가]
선정비로는 드물게 귀부와 이수를 갖춘 비이고, 규모도 크다. 수승대의 관수루를 비롯하여 모리재의 화엽루 등 거창 이름난 누각과 정자에는 김인순 부사의 시문과 기문(記文)이 많이 걸려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