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0400781
한자 動物相
영어음역 dongmulsang
영어의미역 fauna
분야 지리/동식물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경상남도 진주시
집필자 이재필

[정의]

특정한 지역이나 수역(水域)에 사는 동물의 전(全) 종류.

[개설]

특정 동물군에 대해서는 곤충상·연체동물상 등으로, 지역에 대해서는 한국의 동물상·남극의 동물상 등으로, 환경에 대해서는 삼림동물상·토양동물상·호소동물상 등으로 그리고 생활양식에 대해서는 부유동물상·유영동물상 등으로 구분한다.

지구상의 특징 있는 서로 다른 동물상을 가진 구역을 동물지리구로 구별한다. 동물 군집이 양(量)적인 집단인 데 반해 동물상은 종을 동정(同定)하여 결정하는 정성적(定性的)인 개념이라 할 수 있다. 동물상은 식물상(flora)과 합쳐 생물상(biota)을 구성한다.

[현황]

진주는 한반도 남부지방의 동남단, 경상남도 서남부에 위치하여 남방형 동물의 서식처로 포유류와 조류도 비교적 풍부하고, 기후가 온화한 관계로 난지성 곤충류가 서식하기 적합한 환경이다. 그러나 자연 개발을 통한 환경오염과 서식처 파괴 그리고 농업의 병충해 방제를 위한 농약살포 등으로 인해 동물상이 단순화되고 있으며, 그 수도 감소하는 추세에 있다. 특히 도입되거나 유입된 외래 동물들이 많이 늘어나는 추세이다. 일반적으로 구릉형 산지가 많아 우리가 흔히 볼 수 있는 동물(노루, 고라니 등)들이 서식하고 있다.

[저서 무척추동물상]

2000년부터 2001년까지의 조사를 통해 진주시 남강 수계에서 채집된 저서 무척추동물은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편형동물, 환형동물, 깔다구류를 제외한 총 60종이다.

구체적으로 채집된 저서 무척추동물로는 줄날도래, 등줄하루살이, 세갈래하루살이, 꼬마줄날도래류, 민물담치, 물벌레, 부채하루살이, 애호랑하루살이, 네점하루살이, 두점하루살이, 개똥하루살이, 물삿갓벌레 등이다.

[수서·육상곤충]

2000년부터 2001년까지의 조사기간 중 진주지역에서 서식하는 것으로 확인된 육상곤충은 잠자리목 16종, 사마귀목 2종, 메뚜기목 19종, 노리재목 18종, 매미목 4종, 풀잠리목 1종, 딱정벌레목 21종, 벌목 7종, 파리목 10종, 날도래목 1종, 나비목 63종 등 총 162종이다.

특히 진주를 가로 지르는 남강유역과 진양호 지역을 살펴보면 곤충류로는 수서곤충의 경우 하루살이, 잠자리, 강도래, 노린재, 날도래, 딱정벌레목의 곤충들이 관찰되었고, 하루살이류와 날도래류가 많았다. 육상곤충류로는 나비목, 딱정벌레, 메뚜기, 파리목, 잠자리목 등의 곤충들이 있으며, 나비목, 메뚜기목 곤충들이 많았다. 육상곤충은 잠자리목 7종, 사마귀목 2종, 메뚜기목 13종, 매미목 3종, 딱정벌레목 15종, 벌목 5종, 파리목 8종, 날도래목 1종, 나비목 40종 등 107종이 확인됐다. 그리고 밀잠자리, 등검은메뚜기, 무당벌레 등 59종과 검은물잠자리, 방아깨비, 남색초원하늘소, 파리매, 톱니태극나방, 산잠자리, 베짱이, 길앞잡이 등 48종은 매년 다르게 나타났다. 이 중 잠자리목에 속하는 곤충의 출현 종수가 2001년 15종으로 2000년의 7종에 비해 2배 이상 많았다.

수서곤충은 하루살이목 20종, 잠자리목 3종, 강도래목 1종, 노린재목 1종, 뱀자리목 2종, 딱정벌레목 6종, 날도래목 15종, 파리목 3종이 출현했으며, 하루살이류와 날도래류가 풍부했다.

[어류상]

2000년부터 2001년까지의 조사를 통해 밝혀진 진주시 남강유역의 어류상은 11과 30속 39종으로 이 중 잉어과 어류가 23종으로서 전체의 58.97%를 차지하였으며, 다음으로 기름종개과 어류가 5종(12.82%), 꺽지과와 검정우럭과 어류가 2종이었으며, 기타 동자개과, 메기과, 퉁가리과, 은어과, 동사리과, 망둑어과, 가물치과 어류들이 각각 1종이었다. 하천별로 분포하는 어종의 수를 살펴보면, 영천강이 30종으로 가장 풍부한 어류상을 보였으며, 나불천은 22종이었다. 중촌천은 6종, 용아천 5종, 지수천 4종 등으로 빈약한 어류상을 보였다. 가장 많은 종이 채집된 지점은 영천강의 중·하류지역인 St.17지점으로 24종이 채집되어 채집된 종의 약 61.53%를 차지하였다.

전체 조사 지점에서 출현한 어류 가운데 한국 고유종은 각시붕어, 칼납자루, 줄납자루, 쉬리, 참몰개, 긴몰개, 참중고기, 돌마자, 여울마자, 얼룩새코미꾸리, 수수미꾸리, 자가사리, 꺽지, 동사리 등 14종(35.89%)으로 한반도의 평균 고유종 빈도인 22.5%보다 높은 값을 나타냈다.

[조류·육상척추동물상]

조류는 2000년에 3차에 걸친 조사결과 5월에는 총 9목 23과 41속 45종 551개체가, 7월에는 7목 17과 28속 32종 943개체가, 10월에는 6목 20과 37속 46종 1544개체가 각각 관찰됐다. 2001년 역시 3차에 걸친 조사에서 1월에는 7목 24과 40속 57종 7038개체가, 3월에는 7목 21과 35속 54종 3178개체가, 5월에는 10목 26과 44속 51종 1122개체가 각각 관찰됐다.

구체적으로 진주시 일원에는 텃새, 여름철새, 겨울철새, 나그네새 등 다양한 조류가 분포하고 있다. 그 중 여름철새는 중대백로, 쇠백로, 제비 등이 많고, 겨울철새는 되새, 청둥오리, 쑥새, 검은머리방울새 등이, 텃새는 참새, 까치, 왜가리, 직박구리, 흰뺨검둥오리, 붉은머리오목눈이, 박새 등이 많다. 비봉공원에서는 참새 15.1%, 붉은머리오목눈이 14.8%, 박새 7.7%, 까치 6.9%순으로 우점을 보였다. 특히 먹이사슬의 상위자이면서 천연기념물인 새매, 붉은배새매, 황조롱이, 잿빛개구리매, 소쩍새가 관찰되었다. 그리고 이동성에 의하여 분류해 보면 텃새 25종(51%), 여름새 14종(29%), 겨울새 9종(18%), 나그네새 1종(2%) 이었다.

산호공원, 진주성지, 노산공원 등도 도심지내에 위치하여 비슷한 조류상을 보였다. 참새가 26.2%로 가장 우점하였고, 붉은머리오목눈이 14.6%, 까치 9.9%, 직박구리 8.8%, 박새 6.3% 순이었다. 1997년에는 천연기념물인 붉은배새매 1개체가 그리고 중부 내륙지방에 주로 월동 서식하는 겨울철새인 홍여새, 멋장이새가 관찰되었으며, 나그네새인 큰밀화부리가 이 지역에서도 관찰되어 잠재적 조류상이 풍부한 것으로 추측된다. 조류의 이동성에 의하여 분류하면 텃새 22종(48%), 여름새 13종(28%), 겨울새 8종(17%), 나그네새 3종(7%)으로 나타났다.

2000년부터 2001년까지의 현지조사를 통해 밝혀진 조류·육상척추동물상의 분포 현황과 문헌조사를 통해 나타난 분포 현황을 종합해 보면, 진주지역에 서식하는 동물로 육상척주동물의 경우 26종이 확인되었고, 덕천강남강 본류에서는 천연기념물인 수달이 서식하고 있었다. 멧돼지, 노루, 고라니, 족제비 등이 서식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오소리, 너구리, 삵 등도 야산에 서식하는 것으로 밝혀졌으나 그 숫자가 적어 현재 보호종이다. 이 외에 멧토끼, 청설모, 다람쥐, 집쥐, 등줄쥐, 생쥐 등도 마을주변과 경작지, 초지 등에 서식하고 있으며, 두더지, 고슴도치도 활엽수림에서 서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