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0400863 |
---|---|
영어의미역 | Geonnemol, Maebanggol and Baegol |
분야 |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
유형 | 작품/설화 |
지역 | 경상남도 진주시 |
집필자 | 박기용 |
[정의]
경상남도 진주 지역에 전해오는 매방골과 배골의 지명 유래에 관한 설화.
[채록/수집상황]
1980년 8월 3일 류종목, 빈재황이 당시 경상남도 진양군 미천면 오방리 상촌마을에서 채록하였으며, 1981년 한국정신문화연구원에서 발행한 『한국구비문학대계』8-4에 수록되었다. 제보자는 황행덕(남, 42세)이다.
그 후 1994년 진양문화원에서 편찬한 『진양민속지』에 하종갑이 다시 정리하여 수록하였다.
[내용]
예전에 황씨 문중에서 게의 형상을 닮은 게 명당에 묘를 썼다. 그 후 가문에 좋은 일이 생기고 살림이 제법 일어났다.
그런데 어느 날, 집으로 찾아온 도사를 푸대접하고 그냥 돌려보내니, 섭섭한 도사가 게 명당을 보고는 황씨 문중에 해코지할 마음이 생겼다. 그때부터 만나는 사람마다 “저 건너 골짜기가 매를 닮았으니 매방골이라 하시오.”라고 소문을 퍼뜨리니, 그 소리를 들은 사람들은 그 골짜기를 매방골이라 부르기 시작해, 결국 골짜기 이름이 되어버렸다. 그러자 그때부터 황씨 가문은 살림이 기울기 시작했다. 게가 매에게 잡아먹히기 때문에 명당의 기운이 쇠했기 때문이다.
황씨 가문에서 그 사실을 알고 해코지를 피하기 위해, 게 명당 자리 밑에 큰 돌을 하나 갖다놓고 배[船]라고 하였다. 마침 그 아래 골짜기가 침수동(沈水洞)이니, 물위에 배가 떠있고, 그 밑으로 게가 매를 피해 숨을 수 있게 하였다. 그렇게 한 덕분에 명당의 기운이 다시 살아나 황씨 가문은 더 이상 피해를 보지 않았다고 한다.
지금도 침수동 아래 골짜기를 배골, 그 아래 들판을 배골들이라고 한다.
[모티브 분석]
「건네몰과 매방골과 배골」 설화는 사건이나 행동에 따라 복이 생기거나 사라진다는 ‘지명 고쳐서 운세 바꾸기’ 유형에 속하는 민담이다. 전국적으로 전승되는 풍수지리 기원담이다. 「건네몰과 매방골과 배골」 설화의 기본 모티브는 푸대접받은 도사가 지명을 지어 복수를 하자 문중 사람이 해코지를 피하기 위하여 방어책을 폈다는 내용이다. 이밖에도 진주 지역에는 이와 동일한 작품 구조를 갖는 「독사등과 까마귀등」이라는 설화가 있다.
[의의와 평가]
발복(發福)에 얽힌 지명 기원담으로 전국적으로 분포되어 있는 설화다. 진주지역에서는 이런 설화가 여러 편 산견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