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0403280
한자 喪禮
영어음역 sangnye
영어의미역 funeral
분야 생활·민속/민속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경상남도 진주시
집필자 심상교

[정의]

사람이 죽은 후 장사를 지내는 일과 관련된 의례.

[개설]

사람이 죽음으로써 관련하여 발생하는 일에 대한 모든 의식절차를 상례(喪禮)라고 한다. ‘상(喪)’이라는 것은 ‘죽음’이라고 차마 말하지 못하는 상태를 의미하기도 한다.

상례는 다른 통과의례와는 달리 최근까지도 굴건제복(屈巾祭服)을 입고, 곡(哭)을 하는 등의 전통형식으로 치러졌지만, 요즘은 서양의 방식과 다양한 종교의례를 따르는 경향이 짙어졌다.

장례의 종류에는 국장(國葬), 사회장(社會葬), 단체장(團體葬) 등이 있으며, 진주지역에서는 사회장, 문화원장, 예총장, 학교장, 회사장 등이 시행된 바 있다.

[진주의 상례]

다른 지역과 마찬가지로 경상남도 진주 지역에서도 상을 당하면 상례에 밝은 집안사람의 인도를 받거나 장의사의 도움을 받아 절차를 진행하였다. 근래에는 병원이나 전문 장례식장 등이 많이 이용되고 있으며, 그 절차도 간소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상례는 크게 ‘초종’, ‘염습’, ‘입관’ 등으로 그 절차가 나뉘는데, 사람이 운명한 이후 염(殮)을 할 때까지의 절차를 초종이라 하고, 시신을 향나무 삶은 물이나 쑥 삶은 물로 씻기고 옷을 입히는 것을 염습(殮襲)이라고 한다. 그리고 시신을 관에 안치하는 것을 입관(入棺)이라 한다.

과거에는 사망한 다음 날 염습과 입관을 했는데, 요즘은 사망 후 유족들이 모두 모이면 이들 절차를 모두 마치고 조문을 받는다. 이어 상여나 운구차를 이용해 묻힐 장소로 떠나는 것을 출상이라 한다.

[상례의 절차]

운명과 동시에 상주(喪主)들은 머리를 풀고 “아이고 아이고” 하는 곡(哭)을 하고 여자들을 금은 따위의 패물을 떼어 놓고 곡을 한다. 경상남도 진주에서는 고양이가 상가(喪家)의 지붕에 오르거나 굴뚝에 들어가면 시신이 일어선다는 속설이 있기 때문에 고양이를 단속하였다..

앞마당 한 가운데 멍석을 깔고 사잣밥, 대머리밥, 베머리밥으로 불리는 밥 세 그릇과 물 세 그릇, 소금 세 접시, 간장 세 종지, 돈 얼마를 상 위에 놓고 그 옆에는 짚신 세 켤레를 놓아둔다. 저승사자가 세 명이 오는 것으로 믿고 있기 때문이다.

소금과 간장을 놓는 이유는 저승사자가 이것을 먹고 저승으로 가는 길에 목이 말라 자주 쉬어 가도록 하기 위함인데, 이때 망자도 함께 쉴 수 있다고 믿기 때문이다. 예전에는 이 절차가 끝난 다음에 부고를 돌리는 것이 보통이었으나, 요즘에는 부고를 먼저 돌린다.

그리고 시신을 모신 뒤 제상을 차린다. 제상 위에는 혼백이 담긴 상자를 두는데, 상자 안에는 보통 백지(白紙) 위에 ‘현고학생부군신위(顯考學生府君神位)’라고 쓴 지방과 오색실이 들어 있다. 식사 때가 되면 평소와 같이 제상 앞에 음식을 차려 놓는데, 아침과 밤에는 ‘아침제’와 ‘밤중제’를 올리며 이때마다 곡을 한다.

출상 준비가 끝나면 혼백을 모시는 작은 가마인 요여 앞에 하직상을 차린다. 집을 떠나면서 마지막으로 받는 상이다. 술과 간단한 음식을 차린 하직상 앞에서 맏상제가 잔을 올리고 모두 그 앞에 절을 하며 발인축문(發靷祝文)을 읽는다. 그리고 상여 머리를 대문을 향하게 하고 집을 나서는데, 상여행렬 맨 앞에 소동(少童)이 요여를 메고 뒤에는 명견대, 즉 만장(輓章)이 따른다.

요즘은 장의차를 이용하는 경우가 많다. 이럴 경우에는 요여는 없고, 영정사진 앞에 하직상을 차리는 것이 일반적이다.

[생활민속적 관련사항]

집현면 현동에서는 전 가정이 상포계에 가입하여 장례를 치르고 있다. 상을 당하면 각 가정에서 1명 이상이 초상집을 돌본다. 만약 일을 돌볼 수 없으면 일정액의 벌금을 낸다. 집현면의 지내마을에는 못안친목회와 재생친목회가 있어 마을에서 상을 당한 집이 있으면 끝날 때까지 일을 도와준다.

집현면 정수리 검정골에도 초롱계가 있어서 상을 당하면 집집마다 쌀 1되씩을 모아 상가 주변에 불을 밝혀준다. 또 상포계가 있어 상을 당하면 삼베 몇 필을 사주고 3일간 장례일을 도와준다. 이밖에 집현면 원동마을과 월평마을, 장흥마을, 신당마을에도 상포계가 있어서 상례 때 서로 도와주고 있다.

[상례의 변천]

우리나라는 신라시대부터 고려시대에 걸쳐 불교와 유교의 양식이 혼합된 상례가 행해졌으나, 고려 말 『주자가례(朱子家禮)』가 수입되고 조선의 배불숭유(排佛崇儒) 정책에 의해 유교식 장례가 성행하였다. 유교식 의식은 최근까지 계속되어 오다가 서구문물의 수입과 더불어 기독교가 전파되면서 종교의식에 의한 상례가 혼합되어 과거의 전통방식으로 상례를 치르는 경우는 찾아보기 힘들어졌다.

대표적인 변화로는 장례를 치르는 장소가 망자의 집에서 장례식장으로 바뀌었고, 상복도 종교와 집안의 풍속과 관계없이 대개 남자는 검은색의 양복을, 여자는 검은색의 한복을 입는 경향을 보인다. 염습과 입관도 과거에는 사망 다음 날에 진행했으나 요즘은 사망 당일에 행하고 이어 조문객을 받는다. 따라서 근래에는 요여, 상여, 만장 등이 등장하는 장례는 극히 드물며 영정과 운구차량이 이를 대신하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