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1400203
한자 梁山通度寺大光明殿
영어의미역 Daegwangmyeongjeon Buddhist Temple in Tongdosa Temple
분야 종교/불교,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건물
지역 경상남도 양산시 하북면 지산리 583[통도사로 108]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조원영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문화재 지정 일시 2014년 6월 5일연표보기 - 양산 통도사 대광명전 보물 제1827호 지정
문화재 지정 일시 2021년 11월 19일 - 양산 통도사 대광명전 보물 재지정
성격 목조불전
양식 다포식 단층 겹처마 팔작지붕 기와집
건립시기/일시 1725년연표보기
정면칸수 5칸
측면칸수 3칸
소재지 주소 경상남도 양산시 하북면 지산리 583[통도사로 108]지도보기
소유자 통도사
문화재 지정 번호 보물

[정의]

경상남도 양산시 하북면 지산리 통도사에 있는 조선 후기 불전.

[개설]

양산 통도사 대광명전은 법계(法界)의 진리를 상징하는 비로자나불을 모시는 전각으로, 본래 비로자나라는 명칭은 광명편조(光明遍照)라 번역되므로 대광명전이라고 한 것이다. 흔히 비로자나불을 모시는 전각을 비로전(毘盧殿)이라 하기도 한다.

[변천]

양산 통도사 대광명전의 초창 연대는 확실하지 않고 다만 통도사 창건 당시라 전해지고 있다. 현재의 건물은 1725년(영조 1)에 축환대사(竺環大師)가 중수하였다고 하는데, 기록과 공포를 비롯한 건축 양식으로 보아 조선 중기 이후의 건물로 추정된다.

[형태]

양산 통도사 대광명전은 정면 5칸, 측면 3칸의 겹처마 단층 팔작지붕 건물로서, 막돌을 바른층쌓기하고 상부에 장대석으로 갑석(甲石)을 만든 기단 위에 막돌 초석을 놓았고, 약한 배흘림이 있는 두리기둥을 세웠다. 건물 앞면의 경우 벽체 없이 중앙 어칸에는 빗살 창호의 3분합문, 좌우 협칸과 퇴칸에는 2분합문을 달았고, 측면에는 정자살 창호문을 두 짝 달았다.

기둥머리는 창방(昌枋)으로 결구하였고, 공포(栱包)를 기둥 위와 기둥 사이에 놓은 다포식(多包式)을 취하고 있다. 공포의 짜임은 외삼출목(外三出目), 내사출목(內四出目)으로, 제공(諸工) 위에 놓이는 살미첨차[山彌首遮]의 끝은 강직한 앙서[仰舌]로 되어 있고, 내부에는 판형(板形)으로 연꽃 봉오리를 조각하여 장식하였다.

정면 어칸 양측의 기둥머리에 용머리[龍頭]를 조각하여 꽂아놓은 것은 내공포(內栱包)의 판형, 연꽃 봉오리 조각과 더불어 조선 중기 이후의 수법이라 할 수 있다. 가구 구조를 살펴보면 뒷면 내진(內陣)에 고주(高柱)를 세웠고, 앞면 평주(平柱)에 대들보[大樑]를 걸었으며, 이 위에 동자기둥을 세워 종보[宗樑]를 얹은 1고주 7량 가구 형식을 취하였다. 천장은 층급(層級) 우물천장으로서 우물반자를 설치하여 천장의 가구 구조를 가리고 있다. 전각 내부에는 법신불인 비로자나불을 봉안하였다.

[의의와 평가]

양산 통도사 대광명전은 웅장하고 위엄이 있는 대웅전 다음으로 우수한 건물로서, 건물 안쪽의 판형을 갖춘 공포 모양, 연꽃 봉오리 조각, 정면 어칸 양측 기둥머리의 용두(龍頭) 장식 등을 통하여 조선 중기 이후 목조 건축의 양식을 잘 보여준다. 2014년 6월 5일 보물 제1827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 고시에 의해 문화재 지정번호가 폐지되어 보물로 재지정되었다.

[참고문헌]
[수정이력]
콘텐츠 수정이력
수정일 제목 내용
2015.05.06 항목명 수정 통도사 대광명전->양산 통도사 대광명전으로 수정(2015.5.6)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