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디지털양산문화대전

  • 전자지도
  • 전자연표
  • 시청각자료
  • 이용안내
  • 만든사람들
전체메뉴
  • 꿈의 도시를 표방하는 양산 신도시

    도시 광역화에 따른 생활 행정 실현 및 국토 건설 종합 계획의 구현과 지역 균형 개발의 촉진을 위해 조성된 신시가지이다.

  • 한국의 3대 사찰, 통도사

    부처의 진신사리를 모신 통도사는 냇물을 따라 동서로 길게 늘어선 독특한 가람배치를 하고 있다.

  • 충신의 전형이 된 박제상

    신라의 개돼지가 될지언정 왜국의 신하는 되지 않겠다며 목숨 걸고 왕자를 지킨 충신이다.

  • 지리
  • 역사
  • 문화유산
  • 성씨
  • 정치
  • 종교
  • 문화
  • 생활
  • 구비전승
  • 공지사항

    • 서비스 일시 중단 안내 24.01.16
    • 디지털남양주문화대전 공식 오픈 24.01.03
    • 「디지털장흥문화대전」 기초조사연구 및 원고집필 사업 연구팀 공모 23.10.04
    • 서비스 일시 중단 안내 23.06.28
  • 양산 한눈에 보기

      • 가야진사 전설
      • 내원사 계변에 칡넝쿨이 없는 유래
      • 도마교의 전설
      • 산막리 유래
      • 삼장수가 영산에서 공부한 전설
      • 용혈암과 구룡지의 유래
      • 자장암 금개구리
      • 탐관오리를 고치고, 호식의 한을 풀어준 전설
      • 혁목암과 반고굴의 유래
      • 포천산의 다섯 비구 이야기
      • 대성암
      • 『감지금은니대방광불화엄경』
      • 『대승기신론소』
      • 『지장보살본원경』
      • 『입학도설』
      • 『춘추호씨전』
      • 『집주두공부초당시』
      • 『동인시화』
      • 『두공부시범덕기비선』
      • 『춘추좌씨전구해』
      • 독립운동
      • 독립운동가
      • 3·1운동
      • 3·27양산 의거
      • 신간회 양산지회
      • 신흥동우회
      • 양산경찰서 습격 사건
      • 양산농민조합
      • 양산청년동맹
      • 의춘상행
  • 통합검색

    인기검색어 :
    박제상, 통도사, 김원현, 조영규, 북정리 고분군
    인기콘텐츠 :
    양산팔경, 유치원, 중학교, 초등학교, 양산시
  • 디렉토리분류

      • 가
      • 나
      • 다
      • 라
      • 마
      • 바
      • 사
      • 아
      • 자
      • 차
      • 카
      • 타
      • 파
      • 하
      • 기타
      • 지리
      • 역사
      • 성씨·인물
      • 정치·경제·사회
      • 종교
      • 문화·교육
      • 생활·민속
      • 구비 전승·언어·문학
      • 개념 용어
      • 기관 단체
      • 놀이
      • 동물
      • 문헌
      • 사건
      • 성씨
      • 식물
      • 유물
      • 유적
      • 음식물
      • 의례
      • 인물
      • 작품
      • 제도
      • 지명
      • 특산물
      • 행사
  • 추천콘텐츠

    • 통도사

      통도사

      통도사는 646년(선덕여왕 15)에 자장율사(慈藏律師)가 창건하였다. 창건주 자장율사가 643년(선덕여왕 12)에 당나라에서 귀국할 때 가지고 온 불사리와 가사(袈裟), 그리고 대장경 400여 함(函)을 봉안, 창건함으로써 창건 당시부터 매우 중요한 사찰로 부각되었다.

    • 북정동 부부총

      북정동 부부총

      북정동 부부총은 사적 제93호인 양산 북정리 고분군 가운데 제10호분이다. 양산 북정리 고분군은 양산IC에서 차로 5분 거리에 있으며, 경부고속도로 서울 방향 동편 북정리 주택단지의 동부아파트 뒷구릉에 위치한다.

    • 양산문화예술회관

      양산문화예술회관

      양산문화예술회관은 전통 문화 예술의 계승·발전과 지방 문화 예술 창달에 이바지할 수 있는 공연과 행사를 기획·주최하고 있다.

    • 양산타워

      양산타워

      양산타워의 부지 면적은 44,704㎡이다. 양산타워는 크게 한국지역난방공사의 열원 시설과 양산시의 자원 회수 시설로 구성되어 있다.

    • 통도환타지아

      통도환타지아

      통도환타지아는 36홀의 국제적 규모를 갖춘 통도컨트리클럽을 함께 운영하고 있는 ㈜동일리조트의 유원지 사업부로서 영남 알프스인 영축산(靈鷲山) 가장 자리에 위치한 부산 및 경상남도권 내 최대의 테마공원이다.

    • 통도사 성보박물관

      통도사 성보박물관

      통도사 성보박물관은 신라 자장율사(慈藏律師)가 통도사를 창건한 이래 도난·훼손될 소지가 있는 통도사의 문화재들을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보존·전시하고, 문화재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를 통하여 일반 대중의 불교 문화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도모하고자 건립되었다.

    • 양산종합운동장

      양산종합운동장

      주경기장은 도심에서 5~10분 거리에 위치하여 경기 관람과 이용에 편리하고 천연 잔디 축구장과 육상 트랙을 갖춘 국제 수준의 시설로서 제14회 부산아시아경기대회 및 제42회 경상남도 도민체육대회를 개최하기도 하였다.

    • 『문수사리보살최상승무생계경』

      『문수사리보살최상승무생계경』

      통도사 성보박물관에 소장 전시된 『문수사리보살최상승무생계경(文殊舍利菩薩最上乘無上戒經)』은 중인도(中印度)에서 원나라에 귀화한 승려 지공(指空)이 암송하여 한문으로 옮긴 것을 편찬한 불교 경전이다.

    1 /
  • 동영상특별한 이야기

    • 부산권역의 경제 발전을 선도하는 양산신도시 썸네일 이미지
      부산권역의 경제 발전을 선도하는 양산신도시
    • 한국불교의 요람, 통도사 썸네일 이미지
      한국불교의 요람, 통도사
    • 학처럼 고고한 선비를 형상화한 예술, 양산사찰학춤 썸네일 이미지
      학처럼 고고한 선비를 형상화한 예술, 양산사찰학춤
    1 /
  • 내가 쓰는 양산백과

    • '유적(일반)'과 '유물 산포지'의 차이와 기준 20.07.26
    • 행정구역 지명(한자) 수정요청 20.05.12
    • [답변] 행정구역 지명(한자) 수정요청 20.05.12
    • 이미지가 보이지않습니다. 19.05.31
  • 전자지도

    • 물금읍
    • 동면
    • 상북면
    • 원동면
    • 하북면
    • 교동
    • 남부동
    • 다방동
    • 덕계동
    • 매곡동
    • 명곡동
    • 명동
    • 북부동
    • 북정도
    • 산막동
    • 삼호동
    • 소주동
    • 신기동
    • 어곡동
    • 용당동
    • 유산동
    • 주남동
    • 주진동
    • 중부동
    • 평산동
    • 호계동
  • 마을이야기생생하고 새로운 모습

    • 용을 부르는 마을 용당리
    • 놀이를 이어가는 마을 명동마을
    • 지산리 마을속의 통도사와 사기그릇
    • 충과 효과 어우러진 마을 소토리
    • 사라진 성내리의 이름 읍성마을
  • 관광안내

    관광안내 지도로
    관광명소의 위치와 정보를
    볼 수 있습니다.

    • 관광안내 리플렛
  • 배너모음

    많이 사용하는
    메뉴를 한번에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동여도보기
    • 고문서보기
    • 신증동국여지승람
      양산군
  • 한국학중앙연구원
  •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
  • 양산시청
  • 사이트 소개
  • 저작권 정책

COPYRIGHT (C) 2009. 한국학중앙연구원. ALL RIGHTS RESERVED. 대표전화: 031-709-8111

디지털양산문화대전

전체메뉴

  • 콘텐츠 목차
    • 양산향토문화백과
    • 양산의 특별한 이야기
    • 양산의 마을 이야기
  • 디렉토리분류
    • 표제어
    • 분야
    • 유형
    • 시대
    • 지역
    • 집필자
    • 참고문헌
  • 콘텐츠색인
    • 인명
    • 지명/기관명
    • 서명/작품명
  • 전자지도
  • 전자연표
  • 시청각자료
    • 동영상
    • 사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