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임경대 제영」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1400837
한자 臨鏡臺題詠
영어의미역 Attaches a Subject, Poem Recite in Imgyeongdae Heights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문학
유형 작품/문학 작품
지역 경상남도 양산시 원동면 화제리 산72
시대 고대/남북국 시대,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이준규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한시
작가 최치원(崔致遠)[857~?]

[정의]

남북국시대 최치원임경대의 풍광과 자신의 심경을 읊은 칠언절구의 한시.

[개설]

최치원(崔致遠)[857~?]의 문집인 『고운집(孤雲集)』권1과 우리나라 역대 시문선집인 『동문선(東文選)』권19에 「황산강 임경대(黃山江 臨鏡臺)」라는 제목으로 실려 있다. 임경대(臨鏡臺)는 황산강(黃山江: 낙동강의 옛 이름)가에 있으며, 최치원이 노닐면서 「임경대 제영」을 지었다고 하여 최공대(崔公臺)라고도 불린다. 현재 경상남도 양산시 원동면 화제리 산72번지에 있다.

[내용]

작자 최치원임경대의 원경을 읊다가 시선을 외로운 돛배와 아득히 멀어지는 새로 옮김으로써 외로움의 정서를 극한까지 이르게 하고 있다.

“내 낀 봉우리는 우뚝우뚝, 강물은 출렁출렁/ 거울 속의 인가는 푸른 봉우리를 마주했네/ 외로운 돛배는 바람을 싣고 어디로 가는고/ 별안간에 새의 자취 아득도 하구나(煙巒簇簇水溶溶 鏡裏人家對碧峯 何處孤帆飽風去 瞥然飛鳥杳無蹤).”

[의의와 평가]

시 전체가 주위의 풍광을 읊고 있으나, 외로운 돛배와 새를 통해 최치원의 심경을 내비치고 있다. 최치원「임경대 제영」을 읊은 이후 수많은 시인이 임경대를 제재로 하여 시를 읊었으며, 임경대최치원의 시에 힘입어 묵향이 넘치는 장소가 될 수 있었다. 고려시대 김극기(金克己)최치원의 시에 차운하였고, 조선시대 김순룡(金舜龍), 안효필(安孝弼) 등도 임경대에 대해 칠언율시를 남기고 있다.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