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라시대 양주에 속했던 옛 지명. 하곡현은 원래 굴아화촌이었는데, 후에 신라가 점령한 후에 굴아화현으로 바꾸었다. 이 지역은 신라 경주로 들어가는 동남쪽 관문의 역할을 하였기 때문에 외적으로부터 경주를 보호해야 하는 중요한 위치에 있었다. 신라가 전국을 9주로 재편하였을 때 굴아화현이 하곡현(河曲縣)으로 바뀌어 양주에 속했다. 하곡현은 태화강을 끼고 있어 붙인...
-
경상남도 양산시 하북면 삼수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세 명의 장수가 태어난 마을이라서 삼수(三帥)마을이라 칭하였다. 삼수마을이 속한 하북면은 685년(신문왕 5) 전국의 행정구역을 9주 5소경으로 개편하였을 때 삽량주의 일부였다. 756년(경덕왕 16)에는 삽량주가 량주로, 고려 태조 때에 이르러서는 량주(良州)는 다시 양주(梁州)로 개명되었다. 995년(성종 14)에...
-
경상남도 양산시 상북면 석계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1980년 이후 급격한 인구 증가로 1992년 1월 1일 행정구역 개편에 의해 천성산(千聖山)[922m] 고목곡에서 발원한 가제천을 경계로 하여 위쪽은 윗반회마을로, 아래쪽은 아랫반회마을로 분리되었다. 아랫반회마을의 동쪽으로는 천성산(千聖山)[922m], 서쪽으로는 천마산(783m)이 자리하고 있으며, 두 산...
-
경상남도 양산시 상북면 석계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1980년 이후 급격한 인구 증가로 1992년 1월 1일 행정구역 개편에 의해 천성산(千聖山)[922m] 고목곡에서 발원한 가제천을 경계로 하여 위쪽은 윗반회마을로, 아래쪽은 아랫반회마을로 분리되었다. 아랫반회마을의 동쪽으로는 천성산(千聖山)[922m], 서쪽으로는 천마산(783m)이 자리하고 있으며, 두 산...
-
경상남도 양산시에 속하는 행정구역. 양산의 읍치로부터 최북단에 있는 고을이라는 뜻으로 붙여진 이름이다. 665년(문무왕 5)에 신라가 상주와 하주를 개편해 양주(良州)를 신설하여 이에 속했다. 757년(경덕왕 16)에 고을 명을 양주(良州)로 개칭하고 헌양현(巘陽縣)[지금의 언양]을 영현으로 하였다. 940년(태조 23)에 양주(良州)는 양주(梁州)로 개칭되었...
-
경상남도 양산시 하북면에서 읍민의 단결과 화합을 위해 매년 개최되는 행사. 하북면민의 날은 하북면민들의 화합과 향토 문화 계승·발전, 생활 체육 저변 확대를 기치로 체육대회와 민속 행사 등으로 이루어지는 하북면 지역 주민을 위한 행사이다. 풍부한 관광 자원과 우수한 지역 문화를 발전시키고 계승하며, 경로사상을 고취시키고, 생활 체육을 활성화시키기 위해 1994년 하북면민...
-
경상남도 양산시 하북면 순지리에 있는 하북면 관할 행정 기관. 경상남도 양산시를 구성하고 있는 1개 읍(물금읍), 4개 면(동면·상북면·원동면·하북면), 7개 동(삼성동·중앙동·강서동·소주동·평산동·서창동·덕계동) 중 하북면의 행정 사무를 관장하는 기관이다. 경상남도 양산시 하북면의 행정, 민원 및 주민의 복리 증진과 관련된 업무를 총괄하기 위해 설...
-
경상남도 양산시 북정동 하북정에 있는 삼국시대 고분군. 하북정 고분군은 양산IC에서 차로 5분 거리에 있으며, 경부고속국도 서울 방향 동편 북정리 주택단지의 동부아파트 뒷구릉에 위치한다. 양산 북정리 고분군의 북서 방향에 자리잡고 있다. 하북정 고분군은 1991년 토지개발공사에서 양산읍 북정리 지역 일대를 택지로 개발함에 따라 동아대학교 박물관에 의...
-
경상남도 양산시 북정동에 속하는 자연 마을. 북정동의 아래쪽에 있다 하여 하북정(下北亭)이라 부른다. 조선 말기 본래 양산군 읍내면(邑內面)에 속한 지역으로 북정이라 하였다가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으로 북정리가 되었다. 1918년 읍내면이 양산면으로 개칭됨에 따라 양산면 북정리가 되었으며, 1979년 5월 양산면이 읍으로 승격하여 양산읍 북정동이 되었다....
-
경상남도 양산시 북정동에 속하는 자연 마을. 북정동의 아래쪽에 있다 하여 하북정(下北亭)이라 부른다. 조선 말기 본래 양산군 읍내면(邑內面)에 속한 지역으로 북정이라 하였다가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으로 북정리가 되었다. 1918년 읍내면이 양산면으로 개칭됨에 따라 양산면 북정리가 되었으며, 1979년 5월 양산면이 읍으로 승격하여 양산읍 북정동이 되었다....
-
경상남도 양산시 하북면 순지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기본예절이 바른 어린이, 슬기롭게 탐구하는 어린이, 건강하게 사랑을 실천하는 어린이를 교육목표로 하고 있다. 일제강점기인 1931년 4월 13일 화북공립보통학교로 문을 열어 3학급 180명의 신입생이 입학하였다. 1943년 4월 1일 하북국민학교로 학교 이름을 바꾸었고, 1996년 3월 1일 하북초등학교로 학교 이름을...
-
경상남도 양산시 하북면 순지리에 있는 하북면 관할 치안 행정 기관. 경상남도 양산시 하북면 지역의 치안 제반 문제점을 극복하고 현장 대응 능력 강화 및 지역 사회 봉사 활동 등의 치안 서비스 기능을 보다 강화하기 위하여 설치하였다. 2003년 10월 15일 양산경찰서 산하 북부지구대가 신설되었다. 2004년 2월 9일 통도지구대로 이름이 변경되었다. 2007년...
-
조선 말기 경상남도 양산 지역에 설치된 곡물 대여 기관인 사창(社倉)의 하나. 우리 나라에서 사창이 처음 실시된 때는 1451년(문종 1)이었다. 사창은 고려시대부터 설치해온 의창의 폐단을 극복하고자 실시하였다. 즉, 원곡의 부족과 그것을 보충하기 위한 군자곡의 감소를 막자는 데 있었다. 농민에게 환곡 정책의 일환으로 대여했던 의창곡은 이자를 붙이지 않는 것이 원칙이었다....
-
신라시대 양주에 속했던 옛 지명. 하곡현은 원래 굴아화촌이었는데, 후에 신라가 점령한 후에 굴아화현으로 바꾸었다. 이 지역은 신라 경주로 들어가는 동남쪽 관문의 역할을 하였기 때문에 외적으로부터 경주를 보호해야 하는 중요한 위치에 있었다. 신라가 전국을 9주로 재편하였을 때 굴아화현이 하곡현(河曲縣)으로 바뀌어 양주에 속했다. 하곡현은 태화강을 끼고 있어 붙인...
-
경상남도 양산시 신기동 하신기마을에서 거행되는 당산제. 하신기마을 당산의 당명은 ‘김장군당’이다. 당집은 하신기마을 북쪽에 있는데, 2칸짜리 기와집이다. 안에는 화상이 있고 목조로 만들어진 제단이 있다. 신명은 ‘김유신 장군’으로서, 본래 김씨 가문에서 조상을 숭배하는 뜻에서 모시기 시작하여 지금은 부락의 수호신으로 모시고 있다. 제관은 ‘당주’로 불리며, 부...
-
경상남도 양산 지역의 육지 표면에서 대체로 일정한 유로를 가지는 유수의 계통. 양산에는 크고 작은 90개의 하천이 있다. 낙동강과 양산천은 국가 하천이고, 회야강·수영강을 비롯한 나머지 하천들은 지방 하천에 속한다. 이들 하천은 다음과 같은 특색을 갖고 있다. 첫째, 낙동강을 제외하면 유로가 짧고 거의 직선상이며, 하상구배가 급하다. 둘째, 거의 대부분이 단층...
-
용당들의 여기는 다른 곳과는 달리 하천부지에 속하지 않고 개인 소유이다. 땅 가격은 다른 곳에 비해 비교적 싸다. 땅값에 대한 이야기는 마을 사람들에게서 들을 수 있었다. “여기 땅은 지금 현재 30~40%는 외지인에게 팔렸습니더. 평당 7~8만 원 정도 합니더. 지금은 10만 원 정도까지 올랐는데 잘 안 팔린다고 하데요. 물금, 삼랑진, 화제 쪽으로 전부 하천부지라예....
-
조선시대 경상남도 양산 지역에 있었던 초중등 단계의 사설 교육기관. 서당은 조선시대 서민 자제의 교육에 큰 영향을 끼쳤다. 그 원형은 고려시대부터 설립되었고, 조선시대에 들어 양적으로나 질적으로 크게 변화하면서 발전하였으나 현존하는 서당은 없다. 교육 내용은 글의 뜻을 익히는 강독, 글을 짓는 제술, 서체를 익히는 습자의 세 가지였다. 서당의 인적 구성은 스승인 훈장, 학도 중 우...
-
경상남도 양산시 명곡동 명곡천변에 있는 조선 중기 양산군수 이여익이 고을 유생들에게 강학하던 대(臺). 강학대는 1832년(순조 32)에 간행된 『경상도읍지』에 의하면, 이여익(李汝翊)이 1644년(인조 22)~1649년(인조 27) 양산군수로 재임하면서 고을 유생들을 인솔하여 강학했기 때문에 생긴 명칭이라고 한다. 이여익은 창녕 사람으로, 자는 비경(棐卿),...
-
이예를 시조로 하고 이직강을 입향조로 하는 경상남도 양산시 세거 성씨. 학성(鶴城)은 울산(蔚山)의 옛 이름이다. 학성이씨의 시조는 세종 때 대마도 정벌에 공을 세워 절충장군용양위사상호군(折衝將軍龍驤衛司上護軍)에 올라 동지중추원사(同知中樞院事)와 세자좌빈객(世子左賓客)을 역임한 이예(李藝)이다. 이예의 선대는 고려조의 명문으로 조선이 건국되자 충절을 지켜 울산...
-
경상남도 양산시 하북면 지산리에 있는 통도사는 우리나라 삼보 사찰 중의 하나로서 양산 예술혼의 뿌리이다. 양산의 전통 예술을 대표하는 「양산사찰학춤」도 통도사에서 그 기원을 찾을 수 있다. 「양산사찰학춤」은 신라 646년(선덕여왕 15) 통도사가 창건된 이래 불교대제, 영산재, 수륙재, 생전예수재, 종무대재 때 의례 행사무로 시작되어 통도사 승려들을 중심으로 현대까지 전...
-
경상남도 양산시에서 음력 8월 15일에 지내는 명절. 설날과 더불어 제일 큰 명절로, 중추절(仲秋節)·한가위·가위·가배일(嘉俳日)이라고도 한다. 가을 추수가 끝나고 농사일도 거의 끝나는 때로 햇곡식 등이 풍부해 예부터 농경사회에서는 1년 중 가장 즐거운 명절로 지켜왔다. 송편과 햇곡식과 과일을 조상님에게 차례 지내고 성묘하는 명절로서, 유래는 신라의 유리왕 때부터 시작된...
-
지금의 통도사라는 이름이 언제부터 불렸는지는 알 수 없으나 ‘국지대찰(國之大刹) 불지종가(佛之宗家)’라고 한다. 이는 통도사의 사격이 그만큼 컸기 때문이며, 자장율사(慈藏律師)[590~658]가 석가의 진신사리와 가사를 봉안한 것과 관련된다. 따라서 불보(佛寶) 사찰로 알려진 통도사에는 진신사리와 가사를 금강계단에 봉안하고 있기 때문에 대웅전에 불상을 모시지 않는 사찰로 유명하다....
-
경상남도 양산시에 있는 한국4-H본부 산하의 양산 지부. 한국4-H본부 경상남도4-H본부 양산시지부는 양산 지역의 농촌경제를 활성화시키고 지(智: Head), 덕(德: Heart), 노(勞: Hands), 체(體 :Health)의 4-H 이념을 생활화하여 청소년들을 건전한 시민으로 육성하기 위해서 설립되었다. 한국4-H본부 경상남도4-H본부 양산시지...
-
경상남도 양산시 중부동에 있는 한국국악협회 소속의 양산 지부. 국악인 상호 간의 친목을 도모하고 회원의 권익을 옹호하며 향토 예술의 창달로 양산 지역 사회의 예술 문화 발전에 이바지할 목적으로 창립되었다. 2002년 3월에 창립된 한국국악협회 양산지부는 양산 지역의 문화 예술과 국악 발전을 위하여 해마다 정기공연을 하고 있으며, 양산 지역 내에서 활동하는 국악인의 공연뿐...
-
경상남도 양산시 북정동에 있는 한국노동조합총연맹의 양산 지역 지부. 한국노동조합총연맹 양산지부는 민주적 노동조합주의를 기초로 노동자 회원 상호 간 긴밀한 유대를 도모하고 노동 운동의 발전과 경제적 조건의 향상에 기여하기 위한 제반 활동을 목적으로 창립되었다. 1988년 5월 13일 한국노동조합총연맹 경상남도협의회 양산지구협의회로 출범하여 활동을 시작하였다. 최...
-
경상남도 양산시 동면 석산리에 있는 한국도로공사 경남지역본부의 양산 지사. 도로의 설치 및 관리와 이에 관련된 사업을 통해 도로의 정비를 촉진하고 도로 교통의 발달에 이바지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1996년 6월 28일 한국도로공사 경남지역본부 부산지사로 발족하였다. 1998년 1월 한국도로공사 경남지역본부 양산지사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1999년 3월 부산~대구선 강서낙...
-
경상남도 양산시에 있는 한국문인협회 산하 단체. 한국문인협회 양산지부는 문학회원 상호간의 친목을 도모하고 각자의 문학적 자질을 향상시켜 문예 창작의 생활화를 꾀하며, 양산시민의 정서 함양 및 문학 저변 확대를 통하여 지역 사회 문화 창달에 이바지하고자 설립되었다. 한국문인협회 양산지부는 1991년 10월 31일 창립하였는데, 그 전신은 글뫼문학회와...
-
경상남도 양산시에 있는 한국미술협회의 양산 지부. 한국미술협회는 1961년 초대 이사장 박득순을 비롯하여 초대 부이사장 김환기, 김세중 등이 설립하였다. 1961년 12월 18일 한국미술협회가 문교부장관 허가를 받아 정식으로 발족한 이래, 각 지역에는 지부가 설치되었다. 양산에서는 2004년에 한국미술협회 양산지부가 만들어져 활동하고 있다. 양산 지역의 미술...
-
경상남도 양산시 석북면 석계리에 있는 한국사진작가협회의 양산 지부. 한국사진작가협회 양산지부는 양산 지역 사진작가들의 창작 활동을 지원하고, 사진인들의 친목과 단합을 도모하며 사진 인구의 저변 확대를 통하여 양산 지역 문화 발전에 기여하고자 창립되었다. 한국사진작가협회 양산지부는 1988년에 창립되었다. 제1대 지부장은 박상백, 제2대 지부장은 배일...
-
경상남도 양산시 남부동에 있는 한국서예협회의 양산 지부. 한국서예협회 양산지부는 양산 지역 서예 문화 창달과 서예인들의 화합 및 권익을 도모하며, 양산 지역 서예인의 저변 확대를 통한 지역 문화 발전에 기여하기 위하여 창립되었다. 1998년 29명으로 구성된 양산서도회가 결성되었다. 이후 양산서도회를 기반으로 2000년 6월 한국서예협회 양산지부 창립총회가 개...
-
경상남도 양산시 북부동에 있는 한국아마추어무선연맹 산하 경남지부 소속의 사무소. 한국에서 햄(HAM) 관련 단체가 생긴 것은 1955년 4월 20일 사단법인 한국아마추어무선연맹이 창립총회를 개최함으로써 정식 출범하게 되었다. 당시 서울대학교 공대와 문리대 학생들과 일반인 등 40여 명의 동호인이 주동이 되어 단체를 만듦으로써 한국에도 아마추어무선연맹이 존재한다는 것을 알...
-
경상남도 양산시에 있는 한국연예예술인협회 산하 양산 지역 지부. 회원 상호 간의 친목을 도모하고 양산시 문화 예술 발전을 위해 창립하였다. 2007년 8월 23일 한국연예예술인협회 양산지부 창립총회를 열었다. 경상남도 양산시 문화 예술 단체와 함께 각종 공연을 주최·주관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경상남도 양산의 대표적인 축제인 양산삽량문화축전을 전국적으로 알리는...
-
경상남도 양산시 남부동에 있는 한국예술문화단체총연합회의 양산 지역 지부. 경상남도 양산 지역의 문화예술인 상호 간의 친목을 도모하고 회원의 권익을 옹호하며 향토 예술의 창달로 양산 지역 사회의 예술 문화 발전에 이바지할 목적으로 창립되었다. 1998년 6월 29일 양산문화원 회의실에서 한국사진작가협회 양산지부·한국문인협회 양산지부·한국미술협회 양산지부 3개 단...
-
경상남도 양산시 남부동에 있는 음악 교육과 문화 예술의 발전을 위해 창립된 단체. 시민들과 학생들의 정서 함양과 함께 순수 음악에 대한 관심을 높이고 좋은 연주자들의 연주와 교육을 통하여 문화 예술의 발전에 이바지하고자 창립되었다. 합창단, 양산윈드오케스트라, 중창단, 금관5중주단, 클라리넷앙상블 등 여러 분야의 단체를 산하에 두고 정기적인 공연을 하고 있다. 찾아가는...
-
경상남도 양산시 명곡동에 있는 천주교 부산교구 소속 성당. 웅상성당은 양산시 명곡동 지역에서 모임과 미사 등의 전교 사업을 통해 천주교 공동체를 형성하여 가톨릭을 전파하고자 설립되었다. 웅상 지역은 1962년부터 천주교가 전래되었고, 1964년 양산군 웅상면 삼호리 315번지(현 양산시 삼호동)에 동래성당 소속의 웅상공소가 설립되었다. 1986년 7...
-
경상남도 양산시 신기동에 있는 한국전력공사 부산사업본부 산하의 양산 지역 지점. 한국전력공사 부산사업본부 양산지점은 경상남도 양산 지역에 안정적으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1902년 4월 부산전등주식회사가 설립되어 전력 생산과 공급을 시작하였다. 1937년 4월 남선합동전기주식회사 부산지점으로 변경되었으며, 1946년 5월에는 남선전기주식회사 부산지...
-
경상남도 양산시 어곡동에 있는 전자 부품 생산 공장. 1957년 일본에 전자 부품 제조 업체인 J.S.T. Mfg. Co., Ltd가 설립되었다. J.S.T.사는 2000년 2월 한국에 한국제이에스티(주)를 설립한데 이어 2001년 한국제이에스티(주) 양산공장을 준공하였다. 한국제이에스티(주) 양산공장에서는 각종 전기·전자 단자와 접속기(connector)를...
-
경상남도 양산시 북부동에 있는 한국자유총연맹의 산하 양산 지역 지부. 양산 지역에서 대한민국의 자유민주주의 체제 수호 및 항구적 발전과 안보 단체의 구심체로서 협력을 증진하고, 나아가 세계 각국의 자유민주주의 단체와의 교류 및 유대를 강화할 목적으로 창립되었다. 한국반공연맹 산하 단체로 활동해 오다가 1989년 4월 1일 한국자유총연맹 경상남도지회...
-
경상남도 양산시 북부동에 있는 한국지체장애인협회 소속의 지회. 한국지체장애인협회 경남협회 양산시지회는 양산 지역 지체 장애인에 대한 사회 인식 개선, 사회 참여 확대 및 자립과 자활을 도모하여 장애인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기 위하여 창립되었다. 1989년 7월 15일 한국지체장애인협회가 창립됨에 따라 1995년 10월 9일 한국지체장애인협회 경남협회 양산시지...
-
경상남도 양산시 북부동에 있는 한국시각장애인연합회 경남지부 산하의 양산 지역 지회. 시각장애인들의 교육·문화·직업 재활 및 복지 활동과 생활 부조 등을 통하여 법적 지위 향상과 복지 증진, 권익 옹호를 통해 완전한 사회 참여와 평등의 이념을 실현할 목적으로 창립되었다. 1987년 12월 11일 양산군청 소강당에서 사단법인 한국맹인복지협회 경남지회 양산분회를 결성하여 창립...
-
경상남도 양산시 물금읍 가촌리에 있는 한국토지주택공사 경남지역본부의 양산 지역 사업단. 경상남도 양산시 물금 지역 신도시 개발과 함께 토지 자원의 효율적인 이용을 촉진하고 국토의 종합적인 이용, 개발을 도모하여 건전한 국민 경제 발전에 이바지하기 위해 설립하였다. 경상남도 양산시 물금 지역 신도시 개발에 관한 업무를 비롯하여 주택지·공업 용지의 조성...
-
경상남도 양산시 북정동에 있는 담배 제조 업체인 한국필립모리스(주)의 양산 공장. 알트리아 그룹의 계열사인 필립모리스인터내셔널은 담배를 생산해 160여 개국에 판매하고 있으며, 본사를 스위스 로잔에 둔 대규모 외국인 투자 기업이다. 한국필립모리스(주) 양산공장은 말보로, 필립모리스, 버즈니아슬림, 라크 등 필립모리스인터내셔널의 담배 브랜드를 제조하여...
-
일제강점기 경상남도 양산 출신의 항일운동가. 한동선(韓東善)은 1915년 아버지 한암외(韓岩外)와 어머니 손숙이(孫淑伊)의 장남으로 경상남도 양산시 북부동에서 태어났다. 1928년 양산공립보통학교를 졸업하였으며 1929년 김차열(金次烈)과 결혼하여 4남 2녀를 두었다. 1966년 타계했다. 한동선은 1931년 4월 창립된 양산농민조합의 조합원으로 가입하여 일본...
-
경상남도 양산시 하북면 지산리에 있는 연못. 지산 서북쪽의 큰 들이라는 뜻의 한들에서 이름을 따서 지금의 이름이 되었다. 통도사 북쪽에 위치하며, 1945년에 양산천의 상류에 길이 83m, 높이 8m의 둑을 쌓아 만들었다. 유역 면적 18㏊이며, 만수 면적은 1㏊이다. 이 물로 주변의 한들 농경지에 농업 용수를 공급하여 벼농사를 경작하고 있다. 교통은 경부고속...
-
경상남도 양산시 소주동에 있는 섬유 제조업체. 1986년 11월 한성모직공업사를 설립하여 현재 위치에서 모직물을 생산하였다. 1988년 7월 한성모직주식회사로 법인을 전환하였고 1997년 6월 원료 염색공장을 건립하였다. 자본금은 1999년에 60억 원으로 그 후에도 변동이 없다. 매출액은 1999년 217억 6900만 원에서 매년 증가하여 2006년에는 286억 680...
-
경상남도 양산시에서 동지 후 105일 혹은 그 다음날에 지내는 명절. 한식은 설·단오·추석과 함께 4대 명절로 친다. 보통 청명(淸明)의 다음 날인데, 때로는 같은 날일 때도 있다. 이 날은 조상의 산소를 돌보며 차례를 지내기도 한다. 한식은 원래 한국의 풍습이 아니라 중국에서 들어온 절기였으나, 한국에 토착화되었다. 지역적으로는 한반도 북쪽 지역이 남쪽 지역에 비해 한...
-
조선시대 경상남도 양산 출신의 효자. 본관은 경주(慶州). 자는 한업(翰業). 아버지는 사과(司果) 최혁수(崔奕壽)이다. 최현업은 집이 가난하여 아내와 함께 농사일을 하였다. 어느 날 집으로 돌아와 보니, 아이가 우물 속에 떨어져 죽어 있었다. 곧바로 아이를 건져내고 아이의 목숨에는 관계가 없다고 거짓으로 말하여 부모를 안심시켰다. 다행히 얼마 후에 아이가 다시 살아나니...
-
한여름의 열기를 식혀주는 꿀맛 같은 수박은 용당마을 사람들의 정성으로 수확된다. 수확한 수박은 주로 딸기와 달리 밭뙈기로 팔리는 경우, 혹은 공판장에 내다 팔거나 납품업자들이 와서 구입하는 경우로 나눈다. 요즈음은 공판장으로 팔려 나가는 비율이 더 높다고 한다. 수박은 시세에 따라 변동되는 이윤이 다르기 때문에 판로도 다양해질 수밖에 없다. 마을회관에서 집담회를 가지면서 마을 어르...
-
경상남도 양산시 유산동에 있는 금속 캔 및 기타 용기 제조 업체. 한일제관(주)는 미국과 덴마크의 원천 기술에 한국의 품질 지향적인 개량 기술을 접목하여 금속 포장 용기, 캔 용기, 패트(PET) 용기 등 포장 용기를 생산하여 국내·외에 공급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1939년 1월 부산에 조선제관주식회사를 창립하여 우리나라 최초로 금속 용기를 생산하기 시작하였다...
-
경상남도 양산시 용당동에 있는 제지 제조 공장. (주)한창제지는 1973년 12월 세워진 (주)한창제지공업이 모체이다. 1987년 12월 한국증권거래소에 상장하였다. 1991년 12월 부설 제지연구소를 설치하였다(인증 제911218호). 2000년 3월 (주)한창제지로 사명을 바꾸었으며, 2003년 6월 서울시 구로구 구로동에 있던 본사를 영등포구 여의도동으로...
-
옛날 용당리에는 논농사를 할 수 있는 지리적 여건이 갖추어져 있지 않아 마을사람들의 삶이 대단히 곤궁했었다. ‘처녀가 시집갈 때까지 쌀 서 말을 먹지 못한다.’라는 말은 바로 이러한 데서 나온 것이었다. 예전 이곳 용당리에는 논농사가 잘 이루어지지 않았다. 그것은 이곳이 홍수로 물난리가 많이 일어나는 곳이어서 예전부터 논농사를 피하고 다른 농작물을 심었기 때문이었다. 본래 용당리는...
-
경상남도 양산시 교동에 있는 고려시대 포곡식 석축 산성. 마고산성은 양산시 교동과 원동면 화제리 간 경계를 이루는 오봉산(해발 479.9m)의 9부 능선을 따라 축조한 산성이다. 마고산성은 주민들에 의해 ‘할미산성’, ‘마고성’, ‘산성고개’, ‘성산만딩이’ 등으로 불리고 있었다. 마고산성은 5~6세기에 쌓은 테뫼식이 아닌 대규모의 포곡식 산성인 점으로 볼 때...
-
일제강점기 경상남도 양산 출신의 항일운동가. 함성관(咸成寬)은 1931년 4월 창립한 양산농민조합의 조합원으로 가입하여 일본 제국주의의 고율 소작료 착취에 항거했다. 1932년 3월 양산농민조합 구속 간부의 구출 작전에 다른 조합원과 함께 가담하여 정문에서 일본 경찰과 대치하다 구속자 석방을 외치며 경찰서로 진격하였다. 이 사건으로 1932년 부산지방법원에서 벌금 50원...
-
경상남도 양산시 원동면 원리 함포마을에서 매해 음력 1월 14일 자정 무렵 마을의 안녕과 풍농을 기원하며 마을 수호신께 베푸는 민속 제의. 함포마을에서 당산제를 베푼 시기에 대해서는 정확히 알려진 바 없으나, 구전에 의하면 마을이 형성되면서부터 당산제를 지냈다고 한다. 당산제에 대한 전승력이 강하여 제주는 물론 마을 주민들까지 당산제를 지내는 시기에는 금기를...
-
경상남도 양산시 원동면 원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경상남도 양산시 원동면 원동리에 속하는 원동마을은 침수 지역이기 때문에 높은 곳으로 옮겨서 새로 생긴 마을이라 신촌(新村)이라 하였다. 면소재지가 협소하여 발전 가능성이 있는 마을이기도 하다. 함포(含浦)의 포는 포구(浦口)를 의미한다. 현재 함포마을 앞 내포천은 낙동강의 지류로, 지류에 제일 가까운 입구 마을...
-
경상남도 양산시 원동면 원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경상남도 양산시 원동면 원동리에 속하는 원동마을은 침수 지역이기 때문에 높은 곳으로 옮겨서 새로 생긴 마을이라 신촌(新村)이라 하였다. 면소재지가 협소하여 발전 가능성이 있는 마을이기도 하다. 함포(含浦)의 포는 포구(浦口)를 의미한다. 현재 함포마을 앞 내포천은 낙동강의 지류로, 지류에 제일 가까운 입구 마을...
-
경상남도 양산시 동면 석산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석산리에 해강아파트가 들어서면서 인구가 늘어나 분동되었고, 건설업체의 명칭에 따라 해강마을이라 하였다. 2007년 12월 31일 현재 총 437가구에 1,334명의 주민이 살고 있다. 호포역에서 호포마을, 가산(웅기골), 금산마을을 지나면 해강마을이 나온다....
-
조선시대 경상남도 양산 출신의 무신. 본관은 보성(寶城). 호는 해남(海南). 『조선환여승람(朝鮮寰輿勝覽)』 누정 경현당(景賢堂) 조에 의하면 “호는 해남이고, 본관은 보성으로 무과에 올라 우후(虞侯)에 봉해졌다. 집안을 지켜 규율을 아름답게 하였고, 양산에 살면서 풍속을 착하게 만들었다”라고 한다....
-
경상남도 양산시 지역에 거주하는 시민. 양산시 인구는 1949년 54,937명이었고, 이후 1950년대 전반까지 전반적으로 감소 추세를 보였다. 1950년대 중반 이후부터 1960년대 전반까지는 증가 추세를 보이다가, 1960년대 중반 이후부터 1970년대 초반까지 다시 감소 추세를 보였다. 1970년 행정구역 개편으로 당시의 동래군 전역이 양산군으로 편입되면...
-
경상남도 양산 지역의 지표와 연계되어 존재하거나 나타나는 인문적 사상(事象). 인문지리는 특정 지역의 지표와 연계되어 존재하거나 나타나는 기후, 생물, 자연, 도시, 교통, 주민, 산업 등의 여러 가지 사상(事象), 즉 사물과 현상 중 주로 인간 활동이나 삶과 관련된 여러 가지 양상들인 인문적 사상을 의미한다. 다른 사상들과 마찬가지로 인문적 사상도 다양한 측면이나 영역...
-
경상남도 양산시에서 컴퓨터와 통신이 결합하여 형성된 각종 장치 및 소프트웨어의 총칭. 정보와 통신 두 용어는 원래 별개의 용어로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사회 경제 활동의 신속·복잡·광역화 등으로 특징지워지는 고도로 발전된 신사회의 핵심 기반으로서 정보와 통신에 대한 사회적 요구가 두드러지게 증가하게 되면서 양자는 상호 분리될 수 없는 불가분의 관계를 형성하게 되었다. 그...
-
경상남도 남동부에 위치한 시. 양산시는 동경 128°52′18″~129°07′57″, 북위 35°16′16″~35°31′44″에 위치하며, 동쪽과 남쪽은 부산광역시, 서쪽은 밀양시와 김해시, 북쪽은 울산광역시와 접하고 있다. 1996년 3월 1일 도농 통합 형태의 시(市)로 승격되었다. 양산시는 ‘자손대대로 살고 싶은 양산’ 이라는 구호 아래 양산시의 미래상으...
-
경상남도 양산시 어곡동에 있는 정밀 모터 제조·생산 업체. 성신은 선진국 수준 이상의 고품질 정밀 모터 생산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1973년 5월 회사를 설립하고 11월에 모터 제조 설비를 준공하였다. 1988년 2월 과학기술처로부터 기업부설연구소 설립 인가를 받았다. 2000년 11월 중국 톈진[天津]에 현지법인을 설립하고 2002년 5월 중국 칭다오[靑島...
-
경상남도 양산시 하북면 지산리 통도사 성보박물관에 있는 1786년에 제작된 해송당 관준의 진영(眞影). 「해송당 관준 진영」은 세로 131㎝에 가로 88㎝의 크기로 비단 바탕에 채색한 액자형이며, 좌안칠분면의 바닥가부좌상이다. 해송당 관준이 화문석 위에 가부좌하고 양손을 모두 무릎 위에 얹은 채, 왼손에는 주장자를, 오른손에는 염주를 각각 쥐고 있다. 착의는...
-
경상남도 양산시 하북면 삼수리에 있는 청소년 수련 시설. 해운청소년수련원은 1988년 정부로부터 해운 관광 휴양지로 승인받아 해운자연농원으로 개장하였다가 1993년 경상남도로부터 청소년 수련 시설 설치 운영 허가를 받고 1994년 청소년 수련 시설로 개관하였다. 해운청소년수련원은 수련원, 연수원, 산장, 별장, 대강당, 중강당, 소강당, 대운동장,...
-
경상남도 양산시 하북면 지산리 통도사에 있는 자장율사의 진영을 모신 조선시대 사찰 건물. 통도사는 크게 상노전·중노전·하노전 등 세 부분으로 구분하는데, 개산조당은 중노전에 있으며, 용화전의 서쪽에 자리 잡고 있다. 통도사 개산조당은 1727년(영조 3)에 창건되어 여러 차례 중수되었으며 현재의 모습은 1867년(고종 4)에 수리한 것이다....
-
경상남도 양산시 교동 양산향교 앞에 있는 조선 말기 양산군수 권중은(權重殷)의 치적을 기리는 영세불망비. 1906년 양산군수로 부임한 권중은이 첫해부터 교화에 힘써 민속이 검소해졌고, 봉급을 덜어 학문을 장려하였으며, 세금을 감해주는 등 백성의 피폐함을 구해준 것을 잊지 않기 위해 비를 세웠다. 양산향교 앞 양쪽 비석군 가운데 오른쪽 비석군의 앞줄, 정문 담장...
-
경상남도 양산시 교동 양산향교 앞에 있는 조선 후기 양산군수 손상일(孫相馹)의 영세불망비. 손상일과 관련된 비로는 양산향교 비석군에 ‘행군수손공상일청덕불망비(行郡守孫公相馹淸德不忘碑)’가 있고, 통도사 부도원 비석군에도 ‘순상국김공세호·군수손공상일영세불망비(巡相國金公世鎬·郡守孫公相馹永世不忘碑)’가 있다. 손상일이 양산군수로 부임해 와서 전답과 관련된...
-
경상남도 양산시 교동 양산향교 앞에 있는 조선 후기 양산군수 이발원(李發源)의 애민선정비. 이발원과 관련된 것으로 통도사 부도군에 ‘군수이후발원견역선정비(郡守李侯發源蠲役善政碑)’가, 춘추공원 내 삼조의열단 왼쪽에 ‘군후이공발원모충기적비(郡侯李公發源慕忠記蹟碑)’가 있다. 1829년 양산군수로 부임한 이발원은 세금·제방·곡물·재목 운반의 부역에 이르기까지 백성을...
-
경상남도 양산시 교동 양산향교 앞에 있는 조선 말기 양산군수 장태수(張泰秀)의 덕치를 기리는 영세불망비. 1869년에 양산군수로 부임한 장태수는 곡식을 내어 묵정밭을 일구었고, 창고를 열어 세금을 덜어주었으며, 군기를 정비하고 별포군을 기르는 등 국방에 힘썼다. 이에 따라 양산 지역이 완전한 모습이 갖추어가던 1870년 갑자기 장태수가 헌납(獻納)의 벼슬을 제수받아 자리...
-
경상남도 양산시 동면 사송리에 전해 내려오는, 장례를 지낼 때 부르는 민요. 통과의례 가운데 민요를 필수적으로 동반하는 것은 장례이다. 장례는 엄격한 유교식 절차에 의해 거행되면서도 「상여 소리」나 「덜구 소리」 같은 민요가 불려진다. 그 이유는 상여를 메거나 무덤을 다지는 일꾼들이 민요를 필요로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여 소리」는 의식요이면서 노동요의 성격을 가지고...
-
경상남도 양산시에서 이루어지는 공권력을 배경으로 공공 정책의 합리적인 형성과 집행을 구체화하는 과정. 과거와는 달리 현대의 행정은 국민 또는 주민의 일상 생활 전반에 적극적으로 기여하는 방향으로 그 역할과 범위가 크게 확대되었다. 예를 들어, 기존의 질서 유지 기능 외에도 수도·전기·교통·통신 등 사회 간접 시설의 제공, 학교·도서관·공원 등 문화 시설의 확충, 사회적...
-
경상남도 양산시 교동에 있는 조선시대 지방 관립 교육 기관. 향교는 유교 문화 위에서 설립·운영된 교육 기관으로, 국가가 유교 문화 이념을 수용하기 위해 중앙의 성균관과 연계시키면서 지방에 세운 것이다. 교궁(校宮), 재궁(齋宮)이라는 명칭으로도 불리는 향교는 지방에 설치된 관학으로 중등 과정의 교육 기관이다. 향교는 고려시대부터 설치되었으나 그리 성행하지 못하였다. 조...
-
조선 말기 양산군수를 역임한 문신. 본관은 진성(眞城). 자는 관필(觀必), 호는 향산(響山). 이황의 11세손이다. 아버지는 대사성 이휘준(李彙濬)이며, 이휘철(李彙澈)에게 입양되었다. 1866년(고종 3) 정시 문과에 장원급제하여 성균관전적·병조좌랑·사간원정언을 지냈다. 이후 홍문관부수찬·장령·지평·병조정랑·교리·응교·사간·집의 등을 역임했다. 1876년 강화도조약을 체결할 때...
-
동헌이 있던 중앙동사무소 바로 옆 건물에는 양산향토사연구회 사무실이 입주하고 있다. 법인단체는 아니지만 양산의 향토사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곳이다. 이곳에 75세의 고령이신 정진화 선생이 『양산읍지』의 발행을 준비하고 있었다. 정진화 선생은 30년 가까이 경찰공무원과 물금면장을 역임한 뒤 향토의 역사 자료를 찾아 정리하는 일에 여생을 바치고 있다. 20년 넘게...
-
경상남도 양산 지역의 자연 환경 속에서 특색 있게 발달해 온 음식. 양산은 낙동강이 흐르고 있어 민물고기가 풍부하고, 내지에는 영남알프스를 이루는 가지산·영축산 등 깊은 산이 있어 산채 및 버섯 등이 많이 나는 지역으로, 이를 이용한 음식이 발달되어 왔다. 그러나 1996년 양산시로 승격되면서 도시화가 가속되고 있어 이제까지 이어져 오던 향토음식들이 많이 사라...
-
경상남도 양산시 호계동에서 낭지·원효·의상대사와 관련되어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내 고장 전설』에 수록되어 있다. 한편 낭지선사의 일화는 『삼국유사(三國遺事)』「피은」 ‘낭지승운 보현수(朗智乘雲 普賢樹)’에 그 내용이 실려 있다. 경상남도 양산시 호계동[옛 양산읍 호계리]의 반고굴은 원효대사가 수도하던 굴이다. 원효는 화랑으로 혁혁한 전공을 세워...
-
1945년 8월 15일부터 현재까지의 경상남도 양산시 역사. 1945년 8월 18일 양산건국준비위원회가 결성되어 그 산하 치안대는 양산경찰서를 접수하여 치안 확보에 주력하였다. 8월 22일 일본인 경찰서장 이와나가[岩永]는 치안대원을 감금하는 등 강력하게 저항하였다. 그러나 귀국을 걱정한 일본인들의 노력으로 한국인의 치안대는 양산경찰서를 재차 접수하여 자율적 치안을 유지할 수 있었...
-
경상남도 양산시 용당동에 있는 모직물 제조 업체. 현대모직는 소모혼방사, 소모사, 화섬사 등을 제조·판매하여 국내에 보급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1951년 경상남도 마산시 산호동에서 현대모직주식회사를 설립하였고, 차정규와 김만곤이 공동대표이사로 취임하였다. 1969년 11월 부산시 동래구 부곡동[현 부산광역시 금정구 부곡동]으로 본사를 이전하였다. 1993년 4...
-
경상남도 양산시 물금읍 범어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아파트 건설회사인 현대건설의 이름을 따 현리(現里)라고 하였다. 현리마을은 1989년~1993년에 걸쳐 개발된 범어 택지 지구의 북단에 위치하고 있는 현대아파트 단지 마을이다. 원래는 동중마을에 속하였으나 1996년 3월과 10월 2차에 걸쳐 현대아파트가 완공되어 마을이 형성됨에 따라 동년 11월 14일 양산...
-
경상남도 양산시 물금읍 범어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아파트 건설회사인 현대건설의 이름을 따 현리(現里)라고 하였다. 현리마을은 1989년~1993년에 걸쳐 개발된 범어 택지 지구의 북단에 위치하고 있는 현대아파트 단지 마을이다. 원래는 동중마을에 속하였으나 1996년 3월과 10월 2차에 걸쳐 현대아파트가 완공되어 마을이 형성됨에 따라 동년 11월 14일 양산...
-
용신제에 대해서 마을 주민에게 물어보면 이야기가 막힘없이 흘러나온다. 그것은 용신제를 아끼는 마을사람들의 마음이 고스란히 남아 있기 때문일 것이다. 용신제는 조선시대 사독의 하나로 지금까지 계승되는 것은 가야진 용신제뿐이다. 이 때문에 1997년 경상남도 무형문화재 제19호로 지정되었으며 제사의 형태가 비교적 잘 보존되어 왔다. 그러나 최근 용신제를 바라보는 새로운 시각이 마을사람...
-
경상남도 양산시 주진동에 있는 효자 정려각. 현효 정려각은 조선 숙종 때 인물 김려택의 효를 세상에 알리기 위해서 지은 건물이다. 김려택은 조선 숙종 때 훈련원 판관을 지낸 김석일의 아들로서 경상북도 고령에서 태어났다. 그 뒤 울주(지금의 양산시 웅상읍)로 이사하여 살다가 부모가 세상을 떠났다. 이때 김려택의 효성이 각별하였는데 부친이 세상을 떠나 시묘를 할...
-
경상남도 양산시 평산동에 있는 폭포. 천성산 정상부의 천성늪에서 흐르는 협곡을 따라 생겨난 폭포로 마치 사람의 혈관처럼 생겨 붙여진 이름이다. 높이는 20m로 천성산 남동쪽에 위치한 미타암 법수전 옆에 위치하고 있으며, 식수원인 주진천의 최상류이다. 미타암 뒤편 산 정상부의 습지에서 흐르는 물이 가파른 협곡을 따라 흐르면서 여러 개의 아기자기한 폭포를 만들어...
-
경상남도 양산시 평산동의 천성산 동쪽 산록에서 발원하여 소주동으로 흐르는 하천. 하천 연장은 1.50㎞이며, 유역 면적 2.3㎢에 이른다. 2006년 혈수천의 소규모 계곡 물이 완전히 마르거나 줄면서 하천이 건천화되고 있는 가운데, 환경 단체 측은 경부고속철도 천성산 구간 터널 공사의 영향으로 계곡 물이 말랐다고 소송을 제기하였으나, 정밀 조사결과 터널 공사와의 개연성이...
-
조선 후기 경상남도 양산 출신의 문신. 본관은 성주(星州). 자는 성능(聖能), 호는 해산(海山). 할아버지는 철종 때 가선대부(嘉善大夫)를 하사받은 효자 이홍민(李洪玟)이다. 이철호는 성품이 너그럽고 강직하였다. 주사(主事)와 양산군수서리(梁山郡守署理)를 역임하였으며, 양산 지역의 가난한 이들을 도와주는 진목(賑睦) 활동에 힘쓴 인물이다. 양산 지역 주민들이...
-
경상남도 양산시 상북면 소토리에 있는 프레임 및 자동차 부품 제조 업체. 1979년 1월 부산시 남구 감만동에서 삼부금속을 창업하였다. 1987년 4월 경상남도 양산시 현재 위치로 본사를 이전하였다. 1991년 5월 삼부금속(주)으로 법인을 전환하였으며, 1992년 1월 (주)혜암으로 상호를 변경하였다. 2003년 7월 국민은행으로부터 유망 중소기업으로 선정되었다. 20...
-
경상남도 양산시 호계동 호계마을에서 벌어지는 당산제. 제관은 부정 없는 남자를 선출한다. 제관은 제일 전에 목욕을 하여 몸을 정결하게 한다. 이렇게 정성을 들인 뒤에 일반적인 제사와 동일하게 의식을 진행하며, 제사가 끝난 뒤에는 마을 사람들이 모여 음복을 한다. 제일은 음력 1월 15일이며, 술, 떡, 백반, 과실 등을 제수로 마련한다....
-
경상남도 양산시 삼성동에 속하는 법정동. 천성산 자락에 자리하고 있어 계곡이 깊어 범[虎]이 자주 출몰하여 호계동(虎溪洞)이라 하였다고 하며, 범곡이라 할 때 ‘범(凡)’ 자의 한글 발음을 한자어인 범 ‘호(虎)’ 자로 고쳐 호계(虎溪)라고 했다고 한다. 예전에는 범골 또는 범곡이라 부를 때도 있었다. 고려 때 범곡부곡(凡谷部曲)이 있었던 지역으로 양산군 읍내...
-
경상남도 양산시 호계동에 속하는 자연 마을. 호계마을이 원효산 줄기 아래 자리하고 있어 계곡이 깊고 물이 많아 호랑이가 자주 출몰하여 범실, 범곡이라 하다가 호계(虎溪)라고 했다는 설과 원래 범곡(凡谷)이라고 하였다가 한자를 바꾸어 호계라고 했다는 설이 전한다. 조선 말기 양산군 읍내면(邑內面)에 속하여 범실, 범곡 또는 호계라 하였다가 1914년 행정구역 통...
-
경상남도 양산시 호계동에 속하는 자연 마을. 호계마을이 원효산 줄기 아래 자리하고 있어 계곡이 깊고 물이 많아 호랑이가 자주 출몰하여 범실, 범곡이라 하다가 호계(虎溪)라고 했다는 설과 원래 범곡(凡谷)이라고 하였다가 한자를 바꾸어 호계라고 했다는 설이 전한다. 조선 말기 양산군 읍내면(邑內面)에 속하여 범실, 범곡 또는 호계라 하였다가 1914년 행정구역 통...
-
고대 삼국시대 신라의 장군. 김무력의 이름 표기는 자료에 따라 조금씩 다른데 『삼국유사』 가락국기에는 구형왕의 둘째아들 무력(茂力)으로 되어 있다. 구형왕의 셋째아들 무력(武力)으로 표기된 『삼국사기』와 약간의 차이를 보인다. 『삼국유사』 김유신조에는 호력(虎力)으로 표기되었는데, 이는 고려 혜종의 이름인 무(武) 자를 피하기 위한 것이다. 단양적성비에는 ‘사탁부(沙啄部...
-
삼한시대 경상남도 양산 지역에 있었다고 하는 진한 12국 중의 하나. 『삼국지(三國志)』 위서 동이전 한조에 나와 있는 소국 중의 하나이다. 『삼국지』 위서 동이전에 나타나는 변진한(弁辰韓) 24소국 가운데 양산 지역으로 비정되는 곳은 찾아볼 수 없다. 다만, 일부 학자들의 경우 변진 24국 중에 불사국과 호로국에 속하였다고 보기도 하고, 독로국으로 비정하기도...
-
경상남도 양산시 호계동에 있는 진주강씨(晉州姜氏) 재실. 1988년에 현재의 건물을 매입한 뒤 사당으로 중수 개조하여 1989년에 처음 제사를 지냈다. 콘크리트 건물에 팔작지붕으로 정면 3칸이다. 진주강씨 박사공파 13세손 강걸자로부터 23세손 강사진까지의 위패를 모시고 있으며, 매년 11월 셋째 일요일에 제사를 지내고 있다....
-
경상남도 양산 지역에서 신라 말 고려 초에 실질적인 지배력을 행사했던 토착 집단. 호족은 신라 말에서 고려 초에 지방에서 군사력을 보유하고 있으면서 일정한 지역에 대한 지배권을 행사하고 있던 독자적인 지방 세력을 말한다. 호족은 수(帥)·성주(城主)·장군(將軍)·적수(賊帥)·적(賊)·웅호(雄豪)·호걸(豪傑)·호족(豪族) 등으로 기록되어 있다. 중앙 정부의 통치력이 크게...
-
경상남도 양산시 동면 가산리에 있는 조선 중기 왜군이 쌓은 석축 성터. 호포 왜성지는 『양산군읍지(梁山郡邑誌)』에 의하면 원래 호포원지(狐浦院址)로 추정된다.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에는 “호포원은 호포의 동쪽에 있었는데, 지금은 없어졌다”고 기록된 것으로 보아 1530년경에는 역원 기능을 상실했음을 알 수 있다. 이 성은 임진왜란 때 병화에 인멸...
-
경상남도 양산시 동면 가산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호포마을은 금정산(金井山)에서 낙동강(落東江) 쪽으로 여러 등성을 이루며 밀려나와 있는 형세로 볼 때 요수다의복호망월(妖獸多疑伏狐望月)형이라 한다. 즉 요사하게 의심을 품은 여우가 김해 월촌 지역을 바라보고 있는 형상이라 하여 여우 ‘호(狐)’자와 낙동강 변 포구로서 ‘포(浦)’자를 붙여 호포(狐浦)가 되었다....
-
경상남도 양산시 동면 가산리에 있는 부산도시철도 2호선과 그 연장선인 양산선 사이의 도시철도역. 1999년 6월 부산을 동서로 연결하는 부산도시철도 2호선이 건설되었다. 이에 따라 가장 먼저 개통된 양산 호포~서면 간 개통의 일환으로 호포 차량기지와 함께 호포역이 건립되어 1999년 6월 개통되었다. 2007년 9월부터 부산도시철도 2호선 3-1단계인 양산으로 연결되는...
-
삼국시대부터 조선 전기까지 경상남도 양산시 동면 가산리 호포 일대에 설치되었던 숙박 시설. 원(院)은 각 지방 교통로에 설치된 민간 숙박 시설이다. 우리나라에 원이 언제부터 설치 운영되었는지에 대해서는 자세한 기록은 없지만, 신라 소지왕 시대에 우역(郵驛)을 설치하고 운영했음을 생각해 볼 때 역이 생기고 역 근처에 여행객을 위한 원이 생겼을 것이란 추측이 가능하다. 『신...
-
경상남도 양산시 동면 가산리에 있는 조선 중기 왜군이 쌓은 석축 성터. 호포 왜성지는 『양산군읍지(梁山郡邑誌)』에 의하면 원래 호포원지(狐浦院址)로 추정된다.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에는 “호포원은 호포의 동쪽에 있었는데, 지금은 없어졌다”고 기록된 것으로 보아 1530년경에는 역원 기능을 상실했음을 알 수 있다. 이 성은 임진왜란 때 병화에 인멸...
-
경상남도 양산시 동면 가산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호포마을은 금정산(金井山)에서 낙동강(落東江) 쪽으로 여러 등성을 이루며 밀려나와 있는 형세로 볼 때 요수다의복호망월(妖獸多疑伏狐望月)형이라 한다. 즉 요사하게 의심을 품은 여우가 김해 월촌 지역을 바라보고 있는 형상이라 하여 여우 ‘호(狐)’자와 낙동강 변 포구로서 ‘포(浦)’자를 붙여 호포(狐浦)가 되었다....
-
경상남도 양산 지역에서 이루어지는 혼인에 따르는 모든 의례와 절차. 혼례는 인생의 통과의례(通過儀禮)인 사례(四禮), 즉 관(冠)·혼(婚)·상(喪)·제(祭)의 하나로서 남녀 두 사람의 결합으로 하나의 가정을 이루어 새로운 삶을 시작하는 사회적 지위를 인정받는 의식이다. 개인적 결합과 가족적 결합이라는 양면성을 가지고 있으며 시대와 장소에 따라 강조점이나 절차에 차이를 보...
-
경상남도 양산시 하북면 순지리 신평 유적에서 출토된 청동기시대 토기. 단도마연 토기는 주로 청동기시대의 대표적 무덤인 고인돌의 부장용으로 사용되었다. 부장용 단도마연 토기는 태토가 곱고 목부분이 내향하며 구연부가 벌어진 호(壺) 종류가 대부분이다. 이 토기의 시원은 확실하지 않으나 우리나라 남해안 지방에서는 신석기시대 생활 유적에서도 출토되고 있다. 신평 유적...
-
673년(문무왕 13) 원효가 경상남도 양산시 상북면 대석리 천성산에 창건한 사찰. 홍룡사는 673년(문무왕 13)에 원효대사가 창건한 89암자의 하나로, 낙수사(落水寺)라는 이름으로 창건하였다. 그 뒤의 역사는 전하지 않지만 조선 선조대까지 영남 제일 선원이었던 홍룡사는 천불전·관음전·나한전 등을 갖춘 천성산 제일의 대가람이었으나 임진왜란으로 인해 소실되었다. 그 뒤...
-
경상남도 양산시 상북면 대석리에 있는 폭포. 본래는 홍롱폭포였는데 세월이 가면서 점차 홍룡으로 부르게 되어 지금은 홍룡폭포라고 부른다. 물이 떨어지면서 생기는 물보라가 사방으로 퍼진다. 이때 물보라 사이로 무지개가 보이는 데서 이름 지어졌다. 상층 23m, 중층 10m, 하층 8m의 높이로 이루어져 있으며, 천성산 홍룡사 뒤쪽에서 떨어지는 3층 폭포이다. 북동쪽에 있는...
-
경상남도 양산시 하북면 지산리 통도사에 있는 조선 후기 홍명당 궤관의 영정. 본지는 세로 3폭을 연결하여 가로 83.5㎝, 세로 177.7㎝ 크기의 비단 바탕에 채색한 액자형이다. 영정의 형식은 왼쪽 얼굴을 드러내 보인 좌안 칠분면에, 바닥에 가부좌상으로 앉은 평좌상의 모습이다. 화면은 이단으로 표현하였는데, 벽면과 돗자리를 깐 바닥면의 이단 구도이다. 인물은 돗자리 위...
-
조선 중기 경상남도 양산 출신의 문신. 고려 때 대제학 만은(晩隱) 홍재(洪載)의 후손이다. 홍우적은 1673년(헌종 14) 식년시(式年試)에 병과(丙科)로 급제하였다. 『우옹집(愚翁集)』을 저술하였다. 공조참의(工曹參議)에 추증되었다....
-
일제강점기 경상남도 양산의 물금평야 농경지를 소유하고 경영했던 일본계 법인 기업. 홍익식산주식회사는 일제강점기에 주로 광산을 경영하던 한국 소재 일본계 법인으로, 1926년에 물금평야(메기들)를 개간한 광라농장(廣懶農場)을 매입하여 광복 때까지 경영하였다. 현재 물금평야는 1994년 양산물금신도시 택지개발지구로 지정되어 대부분이 택지로 개발되어 옛 모습은 찾아볼 수 없다...
-
일제강점기 경상남도 양산 출신의 항일운동가. 홍인범(洪仁犯)은 1931년 4월 4일 창립된 양산농민조합의 일원으로 지주들의 횡포에 맞서기 위해 적극적인 농민 운동을 펼치다 1932년 3월 16일 양산경찰서에 수감되었다. 1932년 2월 20일 양산농민조합은 양산사회단체회관에서 소작권 영구 확립, 지세 및 기타 공과금 지주 부담, 소작료 4할 등의 내용을 결의한 것이 그...
-
경상남도 양산시 교동 양산향교 앞 비석군에 있는 조선 후기 홍재철을 기리는 영세불망비. 홍재철(洪在喆)은 1840년에 경상도관찰사로 부임하였으며, 진심을 다해 백성을 보살펴 피폐한 고을을 개혁하였으며, 백성들이 편안히 살 수 있도록 해주었고, 재물을 불려 국방에도 힘써 백성들을 보호하였다. 이에 홍재철의 선정을 기리기 위해 비가 세워졌다. 양산향교...
-
조선 중기 경상남도 양산의 안근과 안시명이 무과에 급제하여 받은 교지. 문과와 무과에 급제하여 국왕이 내리는 교지를 홍패라 한다. 안근이 1594년 1월 25일, 안시명이 1603년 1월 각각 무과에 급제했음을 증명하기 위해 교지가 발급되었다. 안근의 「무과교지」는 가로 43.5㎝, 세로 90㎝ 크기의 한지이고, 안시명의 「무과교지」는 가로 43.5㎝, 세로...
-
경상남도 양산시 어곡동에 속하는 자연 마을. 옛날에는 전형적인 시골 마을이었기 때문에 사계절 맑은 물이 흐르고 아름다운 고장이었으나 지금은 양산의 도시화로 인해 공단 지구로 변모하여 조용하고 한가롭던 옛 모습이 하루가 다르게 변하고 있다. 마을 앞 선암산에서 반룡대를 향해 뻗은 산맥이 용의 형상을 하고 있는데, 소(沼)에서 선암산을 향하여 용이 승천하는 모양이라고 하여...
-
경상남도 양산시 물금읍 물금리에 있는 경주김씨 재실. 경주 김씨 물금 제숙공파의 재실이다. 고려 공민왕 20년(1368)에 경주 김씨 51세손인 김옥근이 황산진에 정착, 양산 입향조가 되었다. 이후 이곳에서 400여 년간 65세손까지 거주하였다. 1998년 옛 집을 헐고 신축했다....
-
조선시대 경상남도 양산 출신의 선비. 본관은 밀양(密陽). 자는 화선(化善). 규정공(糾正公) 박현(朴鉉)의 후손이다. 성품이 총명하고 민첩하여 재주와 기예가 남달랐다. 경서(經書)와 사서(史書)를 남김없이 읽어 학문이 뛰어났다. 자신을 연마하여 행동을 깨끗이 하였고, 후진을 깨우치는 데 앞장서 친구들이 존중하여 우러러보았다....
-
경상남도 양산시 교동에 있는 고무 관련 제조 업체. (주)화승소재는 모기업인 동양고무공업(주)에서 축적된 기술을 바탕으로 화학 소재 CMB(Carbon Mater Batch), 미래형 신소재 TPE, 실리콘 등 300여 종의 화합물을 개발 및 생산하여 자동차용품, 가전용품, 생활용품 등의 생산 업체에 공급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1996년 1월 (주)화승소재를...
-
경상남도 양산시 교동에 있는 자동차 부품 및 산업용 고무제품 제조 업체. 1978년 11월 부산에서 (주)동양화공을 설립하였고, 1984년 현재의 위치로 본사 및 공장을 이전하였다. 1988년 11월 (주)화승화학으로 상호를 변경하였다. 1991년 3월 부설 기술연구소를 설립하였고, 11월 기업 공개를 하였다. 1995년 1월 충청북도 청원군에 제2 공장을 건립하였고,...
-
경상남도 양산시 어곡동에 있는 신발용 접착제 및 자동차 부품 제조 업체. 1971년 11월 성창섬유주식회사를 설립하였다. 1977년 1월 부산시 북구 감전동으로 공장을 이전하였고, 1978년 3월 HI-PILE BOA 공장을 가동하였다. 1987년 7월 대보섬유(주)로 상호를 변경하였다. 1988년 1월 홍콩사무소를 개설하였고, 9월 화섬제직사업부를 신설하였다. 1989...
-
경상남도 양산시 하북면 지산리 통도사에 있는 조선 후기 화악당 태영의 영정. 본지는 세로 3폭으로 연결된 비단 바탕에 채색한 액자형이다. 화면은 벽면과 바닥면을 나눈 이단 구도이며, 인물은 전신 좌안 칠분면에 바닥 가부좌상을 한 형태로 묘사하였다. 배경의 상단부에는 병풍을 둘러쳤고, 바닥에는 돗자리를 깔았다. 인물의 옆면에는 책상과 경전을 두어 장엄한 모습이다. 여러 가...
-
경상남도 양산시 상북면과 하북면의 경계에 걸처있는 천성산 남서쪽 능선부 북쪽에 형성된 습지. 원효대사가 당나라에서 온 승려 1천여 명을 천성산에서 『화엄경』으로 교화시켜 성인을 만들었다는 전설에서 유래되었다. 화엄늪의 습지부와 그 주변 지역의 식물상은 66과 164속 190종 40변종 5품종 등 235종이다. 특산 식물로 긴오이풀·지리고들빼기·외대으...
-
경상남도 양산시의 천성산 제1봉인 원효봉의 오른쪽 사면에 펼쳐져 있는 평원. 화엄벌은 국립지리원 중앙지명위원회가 2000년 5월 천성산과 원효산을 천성산으로 통합하여 일컫기로 정식으로 고시하기 전까지 원효산으로 불리던 천성산 제1봉인 원효봉에서 천성산 제2봉인 비로봉을 잇는 능선을 따라 광활하게 펼쳐져 있다. 원효대사가 천성산 정상의 초원과 같은 억...
-
경상남도 양산시 교동 회현마을에서 원동면 화제리 명언마을을 잇는 고개. 양산시 교동 회현마을의 서쪽으로 약 1㎞를 가면 화제치 정상이 나오는데, 여기서 다시 약 2㎞를 가면 원동면 화제리 명언마을이 나온다. 화제치는 1950년대만 해도 원동면 사람들이 양산으로 통행하던 유일한 지름길이어서 통학생, 장사꾼 등 수많은 사람들이 이용하였다. 화제는 원래...
-
경상남도 양산시 원동면 화제리에서 재배하는 쌀의 상품명. 경상남도 양산시에서는 농가 수익 증대를 위한 방안으로 지역마다 단위 농업협동조합이 주도하여 그 지역 고유의 고품질 특산품 쌀을 생산하기 위하여 벼 품종의 선택, 재배, 수매, 도정, 포장 및 유통의 전 단계를 책임지고 있다. 철저한 가공 공정을 거치므로 청결쌀이라는 이름을 붙인다. 원동면과 물...
-
경상남도 양산시 원동면 화제리에 있는 대한예수교장로회(고신) 소속 교회. 경상남도 양산시 원동면 화제리 지역에 복음을 전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1963년 팀(TEAM, The Evangelical Allience Mission) 선교부 소속 고일선(Rev James Cornelson) 선교사의 전도가 화제교회의 설립 배경이 되었다. 1964년 5월 17일 임덕...
-
경상남도 양산시 원동면에 속하는 법정리. 화제리 외화(外花)마을 입구에는 약 1,000평 정도의 소나무 군락지가 있었다. 이 형상이 마치 매화의 수꽃 형상을 하고, 맞은편의 명언(明彦)마을 뒤편 연화봉은 매화의 암꽃 형상을 하고 있어, 이 두 형상의 중간에 소하천이 흐르는 지형을 꽃으로 형상화하여 사람이 꽃을 건넌다는 뜻으로 ‘화제(花濟)’라 하였다고 한다....
-
경상남도 양산시 원동면 화제리에 있는 수령 470년의 느티나무. 느티나무는 느릅나무과의 낙엽 교목으로 양산시를 비롯하여 우리나라에 흔하게 자생한다. 높이 26m에 달하며 한국, 일본, 중국, 타이완 등지에 분포한다. 원줄기가 갈라지는 나무가 많고 나무껍질은 오랫동안 평활하지만 비늘처럼 떨어지면 껍질눈이 옆으로 발달한다. 높이 13m, 가슴 높이 둘레 5m, 지름 1.59...
-
경상남도 양산시 원동면 화제리 토곡산의 동쪽 사면에서 발원하여 낙동강으로 흘러드는 하천. 화제리 앞을 흐르고 있어 마을 이름을 따서 지금의 이름이 되었다. 상류에는 내화저수지가 있고, 계곡은 좁으나 하류의 화제교 근처에서 화정천 등의 여러 물줄기가 모이면서 하폭이 넓게 형성되어 있다. 하천 연장은 6.20㎞이며, 유역 면적은 21.16㎢에 이른다. 낙동강의 1...
-
경상남도 양산시 원동면 화제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바른 생활 태도를 익혀 실천하는 어린이(도덕인), 새롭게 생각하고 스스로 탐구하는 어린이(창조인), 꿈을 갖고 나라를 사랑하는 어린이(애국인), 몸과 마음이 건강하고 씩씩한 어린이(건강인) 육성을 교육목표로 하고 있다. 1926년 4월 10일 원동공립보통학교 부설 화제간이학교로 설립을 인가 받아 1936년 6월 5일...
-
경상남도 양산시 교동 회현마을에서 원동면 화제리 명언마을을 잇는 고개. 양산시 교동 회현마을의 서쪽으로 약 1㎞를 가면 화제치 정상이 나오는데, 여기서 다시 약 2㎞를 가면 원동면 화제리 명언마을이 나온다. 화제치는 1950년대만 해도 원동면 사람들이 양산으로 통행하던 유일한 지름길이어서 통학생, 장사꾼 등 수많은 사람들이 이용하였다. 화제는 원래...
-
경상남도 양산시에서 화투의 그림을 월별로 묘사한 달거리형 민요. 화투는 한국 고유의 오락이 아니라 19세기경 일본에서 들어온 것이다. 따라서 「화투가」는 개화기 이후 새로 발생한 신민요의 하나이다. 1987년 3월 이소라가 현재의 경상남도 양산시 물금읍 가촌리에서 박순덕의 창을 채록하였다. 『양산의 민요』(양산군, 1992)에 수록되어 있다. 「화투가」는 정월...
-
조선 말기 안종설 등이 환벽정에 오른 감회와 주변 풍광을 읊은 한시. 「환벽정 제영(環碧亭 題詠)」 한시는 경상남도 양산시 상북면 소토리에 있었던 환벽정의 주변 풍광과 정자에 오른 감회를 읊은 한시로 양산군수를 지낸 안종설(安鍾卨)과 이에 차운한 동래부사 윤필은(尹弼殷)의 시, 그리고 안행탁(安行鐸)과 안병원의 시 등이 전하고 있다. 환벽정은 조선 후기 헌종 때에 안경록...
-
경상남도 양산시 상북면에 있었던 정자 터. 효행과 교유 관계가 돈독했던 헌종 때의 안경록(安景祿)이 상북면에 정자 환벽정을 축성하고 말년을 보낸 곳이다. 현재 환벽정의 모습은 없어졌고, 안행탁(安行鐸), 군수 안종설(安鍾卨), 방운(傍雲) 윤필은(尹弼殷)이 지은 제영(題詠)이 전하고 있다. 그중 방운 윤필은이 찬한 제영을 통해 당시 환벽정의 모습을 그려볼 수 있다. “녹...
-
경상남도 양산시 하북면 지산리 통도사 성보박물관에 있는 1799년에 옥인이 그린 환성당 지안의 진영(眞影). 「환성당 지안 진영」은 옥인(玉仁)에 의해 1799년(정조 23)에 제작된 것이다. 환성당 지안은 1664년(현종 5)에서 1729년(영조 5)까지 조선 후기에 활약한 고승으로 화엄학(華嚴學)으로 명성이 높았던 승려이다. 통도사뿐만 아니라 범어사와 동국...
-
일제강점기 경상남도 양산 출신의 독립운동가. 황만우는 범어사에 있는 중등학교 과정의 지방학림 학생으로서 1919년 3월 범어사 학생 독립만세 운동에 참여하였다. 학생 40여 명은 3월 18일 밤, 동래읍 서문(西門) 부근에서부터 대한독립만세를 고창하며 동래시장을 거쳐 남문(南門)에 이르기까지 시위운동을 전개하였다. 3월 19일 황만우 등 10여 명의 학생들은 동래시장 남...
-
일제강점기 경상남도 양산 지역에서 활동한 승려이자 독립운동가. 황원석(黃元錫, 법명 만우)은 1912년 범어사로 출가하여 수도승이 되었으며 1919년 당시 범어사의 보통학교 과정인 명정학교와 중등학교 과정(3년)인 지방학림의 동료 학생들과 함께 범어사의 만세 운동을 주도하였다. 범어사의 만세 운동은 학생 의거로 일어났으나 불교계의 지도층이 뒤를 받치고 있었다. 1919년 3월 18...
-
고려 후기 정포가 유배 중 황산강에서 읊은 칠언고시의 한시. 시문선집인 『동문선(東文選)』에 「황산가(黃山歌)」라는 제목으로 전한다. 황산강(黃山江)은 낙동강의 옛 이름이다. 작자인 정포(鄭誧)[1309~1345]가 울주(蔚州)[지금의 울산광역시]에 유배되었을 때에 지어진 것으로 보이는데, 정포는 유배 생활 중에도 태연자약하여 활달한 장부의 기질을 잊지 않고 풍류 생활을 즐겼다고...
-
영남 지방 전역을 유역권으로 하여 그 중앙 저지대를 남류하여 남해로 흘러드는 강. 국가 하천인 낙동강의 하류는 부산광역시·경상남도 김해시와 마주하면서 양산시의 서쪽 경계를 이룬다. 양산시에 해당하는 낙동강은 원동면 하주막에서 남동으로 흘러 동면 호포리에 이르는 길이 19.3㎞로서 양산 지역에서 발원하거나 관류하는 원동천·화제천·양산천이 낙동강으로 유입된다. 낙동강은 9차수 하천으로...
-
고려 후기 정포가 유배 중 황산강에서 읊은 칠언고시의 한시. 시문선집인 『동문선(東文選)』에 「황산가(黃山歌)」라는 제목으로 전한다. 황산강(黃山江)은 낙동강의 옛 이름이다. 작자인 정포(鄭誧)[1309~1345]가 울주(蔚州)[지금의 울산광역시]에 유배되었을 때에 지어진 것으로 보이는데, 정포는 유배 생활 중에도 태연자약하여 활달한 장부의 기질을 잊지 않고 풍류 생활을 즐겼다고...
-
조선시대 경상남도 양산 지역에 설치된 교통 통신 기관. 조선시대 찰방역은 찰방(종6품) 1명이 관장했고, 역리들이 역의 관리와 공무를 담당했다. 특히 중앙 직속 기관이었던 찰방은 역정(驛政)의 최고 책임자였으며, 세력 또한 막강해 양산 지역에 어사가 순찰을 돌 때 보필했을 뿐 아니라 군수(종4품)의 치정을 견제하는 역할까지 했다. 황산역은 조선 세조 때 만든 40개 찰방...
-
경상남도 양산시 물금읍 물금리에 있는 전통 재래 시장. 물금(勿禁)은 조선시대 영남대로의 황산역(黃山驛)[현 양산시 물금읍 물금리 물금취수장 자리]이 있었을 뿐만 아니라 북쪽의 밀양과 삼랑진, 남쪽의 김해 칠성포·부산포를 연결하던 황산나루(현 양산시 물금읍 물금리 물금취수장 입구)가 위치했던 낙동강의 주요 교통 요지였다. 이러한 연유로 조선 후기 개시된 물금장...
-
조선시대 경상남도 양산 지역에 설치된 교통 통신 기관. 조선시대 찰방역은 찰방(종6품) 1명이 관장했고, 역리들이 역의 관리와 공무를 담당했다. 특히 중앙 직속 기관이었던 찰방은 역정(驛政)의 최고 책임자였으며, 세력 또한 막강해 양산 지역에 어사가 순찰을 돌 때 보필했을 뿐 아니라 군수(종4품)의 치정을 견제하는 역할까지 했다. 황산역은 조선 세조 때 만든 40개 찰방...
-
조선 중기 경상남도 양산 출신의 의병. 본관은 평해(平海). 관상감 참봉 황봉민(黃鳳敏)의 아들이다. 조부는 원주목사를 지낸 황삼계(黃三繼)이다. 황선은 조부 때 평해에서 경상남도 양산 지역 동면 내송리(內松里)로 옮겨왔다. 소년시절부터 슬기롭고 굳세어서 장차 장사가 될 인품이라 하였다. 그러나 초야에 묻혀서 농사를 짓고 살았다. 그러다가 임진왜란이 일어나 왜군이 동래성...
-
일제강점기 경상남도 양산 출신의 항일운동가. 황소준(黃小俊)은 일제강점기 소작 관행을 혁신하기 위한 운동을 펼치다 일본 경찰에 검거된 양산농민조합의 간부이다. 1932년 2월 20일 양산농민조합이 양산사회단체회관에서 소작권 영구 확립, 지세 및 기타 공과금 지주 부담, 소작료 4할 등의 내용을 결의하였다. 그리고 같은 해 3월 14일 양산농민조합의 조직부장 이봉재(李鳳在) 일행이...
-
일제강점기 경상남도 양산 지역에서 활동한 승려이자 독립운동가. 황원석(黃元錫, 법명 만우)은 1912년 범어사로 출가하여 수도승이 되었으며 1919년 당시 범어사의 보통학교 과정인 명정학교와 중등학교 과정(3년)인 지방학림의 동료 학생들과 함께 범어사의 만세 운동을 주도하였다. 범어사의 만세 운동은 학생 의거로 일어났으나 불교계의 지도층이 뒤를 받치고 있었다. 1919년 3월 18...
-
경상남도 양산시 물금읍 범어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아파트 건설업체인 황전토건의 명칭을 따서 황전마을이라 부른다. 1990년 양산군 공영개발사업소에서 범어지구 택지 개발로 조성된 부지에 1991년 ㈜진일건설이 아파트를 건설하던 중 1992년 7월 부도로 사업이 중단되었다. 이에 1992년 11월 19일 입주자 대표 황전토건주식회사에서 공사를 인수하여 1994년 6월 3일...
-
경상남도 양산시 물금읍 범어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아파트 건설업체인 황전토건의 명칭을 따서 황전마을이라 부른다. 1990년 양산군 공영개발사업소에서 범어지구 택지 개발로 조성된 부지에 1991년 ㈜진일건설이 아파트를 건설하던 중 1992년 7월 부도로 사업이 중단되었다. 이에 1992년 11월 19일 입주자 대표 황전토건주식회사에서 공사를 인수하여 1994년 6월 3일...
-
공암마을 앞 양산천 건너편에는 산바다 사슴농장이 있다. 공암마을에 사는 농장주인인 오정일(68세)을 만났다. 오씨가 처음 사슴을 키우게 된 것은 그저 우아한 모습의 사슴 그 자체가 좋아서였다. 1975년 취미삼아 집 앞 공터에 두어 마리를 키운 것이 그 시작이었다. 옛날부터 소토마을과 공암마을에서는 벽돌·기와·옹기공장이 많았다. 오씨의 집안 역시 증조부 때부터...
-
경상남도 양산시 호계동에 있는 산. 회계산(會稽山)은 현재 천성산의 서쪽 줄기를 지칭하는 산 이름이다. 천성산의 줄기 중에서 위천산 아래쪽에 있는 산을 지칭하는 것으로 보인다. 예전에 큰 산의 경우 마을에서 가까운 봉우리를 중심으로 산 이름이 부여되었으며, 나중에 큰 봉우리를 중심으로 산 이름이 명명되자 작은 산의 이름은 사라진 것으로 보인다. 현재 회계산의...
-
경상남도 양산시 동면 법기리에서 호계동으로 넘어가는 고개. 양산시 동면 법기리 본법(本法)마을의 서북쪽 골짜기에서 호계동으로 넘어가는 고개이다. 1932년에 법기수원지가 생겨 본법마을의 고개가 쇠퇴하여 지금은 회깃재라는 지명으로 부르고 있다. 본법마을을 본어실로 부르기도 하는 데, 본법사의 절 터가 있는 것으로 보아 본법은 본법사에서 연유된 지명으로...
-
경상남도 양산시 평산동 천성산에서 발원하여 덕계천과 합류하여 회야댐으로 흘러드는 강. 신라의 시조 박혁거세가 태어난 박이 밤에 이 강으로 떠돌아왔다는 설이 있고, 임진왜란 때 왜적을 무찔러 크게 이긴 곳이기도 하다. 토박이 땅 이름으로는 ‘돌배미강’이며, 다른 이름으로는 ‘일승강(一勝江)’이라고도 한다. 곡류천을 명명할 때에는 곡(曲)·회(回)·구비(仇非)·도...
-
경상남도 양산시 교동 회현마을에서 원동면 화제리 명언마을을 잇는 고개. 양산시 교동 회현마을의 서쪽으로 약 1㎞를 가면 화제치 정상이 나오는데, 여기서 다시 약 2㎞를 가면 원동면 화제리 명언마을이 나온다. 화제치는 1950년대만 해도 원동면 사람들이 양산으로 통행하던 유일한 지름길이어서 통학생, 장사꾼 등 수많은 사람들이 이용하였다. 화제는 원래...
-
경상남도 양산시 교동에 속하는 자연 마을. 회현마을에는 조선시대 이전부터 곡포(曲浦) 지역에 사람이 정착해 온 듯하다. 특히 1397년(태조 6) 양산향교 창설 이후 유생들이 거주하기 시작하였다. 세거 성씨는 변씨, 최씨, 김씨, 정씨 등이다. 회현(會賢)이라는 이름은 양산향교 인근에 유생들이 많이 모여 산 데서 유래되었다. 회현동이라는 마을 이름은 조선조 이...
-
경상남도 양산시 교동에 속하는 자연 마을. 회현마을에는 조선시대 이전부터 곡포(曲浦) 지역에 사람이 정착해 온 듯하다. 특히 1397년(태조 6) 양산향교 창설 이후 유생들이 거주하기 시작하였다. 세거 성씨는 변씨, 최씨, 김씨, 정씨 등이다. 회현(會賢)이라는 이름은 양산향교 인근에 유생들이 많이 모여 산 데서 유래되었다. 회현동이라는 마을 이름은 조선조 이...
-
경상남도 양산시 상북면 좌삼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삼리 왼쪽에 있다고 하여 좌삼리라고 하였다고 하며, 또한 마을 왼쪽에 삼림이 울창해 있으므로 좌삼이라 칭하였다고 한다. 약 400년 전 이곳에 달성서씨가 마을을 형성하였으며,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좌삼리는 상북면에 속하여 지금에 이르고 있다. 그 당시 좌삼 마을을 옛날에는 횡당 마을이니, 사대 마을...
-
경상남도 양산시 상북면 소토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신라 눌지왕 때의 충신이자 효자인 박제상(朴堤上)의 출생지로 추정하여 효충마을이라 부른다. 효충마을은 효충마을과 감결마을 두 마을을 합하여 효감마을이라고도 하였으나, 1982년 9월 1일 효충마을과 감결마을로 분동되었다. 동쪽으로는 천성산(千聖山)[922m], 서쪽으로는 천마산(783m)이 자리하고 있으며,...
-
경상남도 양산시에서 전해 내려오는 주천(酒泉)에 관련된 이야기. 주천 전설은 샘물이 술이 되었다는 이야기로 전국적으로 분포되어 있다. 일례로 전라북도 고창군 신림면에 오준이라는 효자의 「효감천」 전설이 있고, 이희준[1775~1842]의 『계서야담』에도 「효감천」이 있다. 전승 지역만 다를 뿐 인물과 내용이 유사하다. 최상수가 1936년 7월 당시의 경상남도...
-
경상남도 양산시 상북면 소토리에 있는 초계정씨 재실. 초계정씨의 시조 정배걸(鄭倍傑)의 27세손 이희중, 이희안, 이희민 등을 추모하는 재실이다. 재실의 규모는 정면 3칸, 측면 1칸이다. 매년 음력 10월 첫째 일요일에 약 50명의 후손이 모여 제사를 지내고 있다....
-
경상남도 양산시에서 전해 내려오는 주천(酒泉)에 관련된 이야기. 주천 전설은 샘물이 술이 되었다는 이야기로 전국적으로 분포되어 있다. 일례로 전라북도 고창군 신림면에 오준이라는 효자의 「효감천」 전설이 있고, 이희준[1775~1842]의 『계서야담』에도 「효감천」이 있다. 전승 지역만 다를 뿐 인물과 내용이 유사하다. 최상수가 1936년 7월 당시의 경상남도...
-
조선 중기 경상남도 양산 출신의 효자. 본관은 나주(羅州). 자는 효순(孝順), 호는 경와(耕窩). 정재(正齋) 정지송(丁之松)의 후손이며, 아버지는 양산 지역의 유일(遺逸)로 이름난 정득(丁得)으로 임진왜란 때 김해 지역에서 양산 지역으로 피난해 와서 정착하였다. 형은 양산의 유행(儒行)으로 알려진 정명희(丁鳴稀)이다. 정명석은 평소에 효성과 우애가 깊고 덕행이 높아...
-
경상남도 양산시 삼호동에 있는 사립 고등학교. 미래 사회에 부응하는 창조적인 인간 육성을 교육목표로 하고 있다. 1974년 3월 5일 6학급을 인가 받아 효암고등학교로 학교 문을 열었다. 1976년 8월 16일 정관을 변경하여 웅상학원을 효암학원으로 이름을 바꾸었으며, 1977년 8월 15일 학칙을 변경하여 효암여자상업고등학교로 이름을 바꾸었다. 1978년 3월 5일 1...
-
지산마을에 사는 최원봉(95) 옹(2008년 작고)은 1973년 부친이 세상을 떠난 뒤 34년 동안 하루도 거르지 않고 부모님의 산소를 찾아 길을 나섰다. 통도사 산문을 비껴난 길을 따라 30분 가량 걸어 도착한 야산이 최옹의 부모와 아내가 묻혀 있는 곳이다. 최옹은 "가고 오지 않는 게 세월이고, 다시 볼 수 없는 게 부모"라며 능숙한 손놀림으로 묘소의 잡초를 뽑아냈다...
-
경상남도 양산시 중부동에 있는 박창과 이공미의 효자비. 『신증동국여지승람』 권22, 양산군 효자조에 의하면 박창(朴暢)은 부모상을 당해 깊은 골짜기에 여막을 짓고 밤낮으로 애통해 하니 왜적도 감동하여 해치지 않아 무사히 3년상을 마쳤다. 이공미(李公美)는 어미의 무덤을 3년 동안 지켜 나라에서 정문(旌門)을 내리고 세금을 면제하였다고 기록하고 있다....
-
경상남도 양산시 상북면 소토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신라 눌지왕 때의 충신이자 효자인 박제상(朴堤上)의 출생지로 추정하여 효충마을이라 부른다. 효충마을은 효충마을과 감결마을 두 마을을 합하여 효감마을이라고도 하였으나, 1982년 9월 1일 효충마을과 감결마을로 분동되었다. 동쪽으로는 천성산(千聖山)[922m], 서쪽으로는 천마산(783m)이 자리하고 있으며,...
-
박제상의 생가터로 알려진 효충사는 마을 주민 정세영(77세)이 전담하여 관리하고 있다. 처음 만나는 자리에서 정세영 씨는 ‘관리인’이라는 말에 손사래를 치면서 펄쩍 뛰다시피 부정한다. 열쇠만 가지고 있을 뿐 결코 관리인이 아니란다. 그러는 이유가 있었다. 향토사학자인 고 안종석 씨에 의해 1960년 효충사가 창건된 이래 1971년에 대지 확장 시 몇 개의 축대석이 발견되...
-
양산시내에서 35번 국도를 타고 통도사 쪽으로 가다가 어곡터널 쪽으로 좌회전해서 다리를 건너면 효충마을을 만나게 된다. 이곳은 신라의 그 유명한 충신인 박제상이 태어난 곳으로, 효충사는 그를 모신 사당이다. 효충사를 찾기 위하여 마을 안쪽으로 들어가니 막다른 곳에 위치하고 있었다. 효충사는 1960년 소토리 율리마을의 안종석이 주도하여 설립하였고, 동년 11월 9일에 박...
-
경상남도 양산시 상북면 소토리에 있는 박제상을 추모하는 재사당. 양산 지역의 천성산 아래에 있는 효충리는 신라의 충신 박제상이 나고 자란 곳이다. 박제상은 고구려와 왜국에 볼모로 잡혀갔던 눌지왕의 두 아우, 복호와 미사흔을 구한 후 왜국에서 어떠한 고문에도 굴하지 않고, 끝까지 절개를 지켜 순국한 충신이다. 이런 박제상을 추모하기 위해서 효충사를 지어 향사했다...
-
경상남도 양산시 상북면 소토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신라 눌지왕 때의 충신이자 효자인 박제상(朴堤上)의 출생지로 추정하여 효충마을이라 부른다. 효충마을은 효충마을과 감결마을 두 마을을 합하여 효감마을이라고도 하였으나, 1982년 9월 1일 효충마을과 감결마을로 분동되었다. 동쪽으로는 천성산(千聖山)[922m], 서쪽으로는 천마산(783m)이 자리하고 있으며,...
-
박제상(朴堤上)은 4세기 말 5세기 초반에 활동한 신라 사람으로, 신라의 변경 지대인 양산 지방의 관리(혹은 세력가)로 있었다. 당시 신라는 고구려·왜·백제로부터 전방위 압박을 받고 있었고, 위기를 탈출하기 위해 왕자 두 명을 고구려와 왜에 각각 인질로 보내야 할 만큼 절박한 상황이었다. 두 아우를 구하고자 하는 눌지마립간의 명을 받들어 박제상은 목숨을 걸고 적국에 들어...
-
박윤웅을 시조로 하고 박유경을 입향조로 하는 경상남도 양산시 세거 성씨. 흥려(興麗)는 울산의 옛 지명으로써 한자 뜻대로 고려를 일어나게 한 곳이라는 뜻이다. 흥려박씨 현재 명칭은 울산박씨(蔚山朴氏)이다. 시조 박윤웅(朴允雄)은 신라 경명왕의 막내아들인 국상공(國相公) 박교순(朴交舜)의 7세손이다. 울산박씨는 시조인 장무공(莊武公) 박윤웅에서 시작된...
-
경상남도 양산시 유산동에 있는 타이어 및 자동차용 부품 제조 업체. 1942년 4월 부산시 부전동에 흥아고무공업(주)을 창립하였다. 1951년 6월 흥아공업유한회사를 설립하였고, 1952년 6월 흥아타이어와 분리하였다. 1978년 11월 부산시 북구 화명동으로 본사를 이전하였다. 1985년 5월 주식회사 흥아 양산공장을 준공하였다. 1987년 5월 한·일 합작회사인 태평...
-
경상남도 양산시 북부동에 속하는 자연 마을. 경상남도 양산시 중앙동에 속하는 마을로 양산시내에서 제일 높은 곳에 위치하고 있다. 몇 년 전에는 양산의 교육마을로 초, 중, 고등학교가 있어 양산의 교육마을이라 항수 있었으나 신도시가 조성되어 발전이 덜되고 있는 마을이다. 학교가 언덕 위에 있어서 학생들이 희망을 가지고 고개를 넘으라는 뜻에서 당시 학교 교장인 이항녕(李恒寧...
-
경상남도 양산시의 시조(市鳥)인 까마귀과에 속한 새. 몸길이 약 45㎝, 부리 2.9~3.9㎝, 날개 18.6~22.1㎝, 꼬리 19.7~26.4㎝, 부척(跗蹠: 정강이뼈와 발가락 사이의 부분) 4.7~5.5㎝, 몸무게 190~287g이다. 까마귀보다 작으나 꼬리는 더 길다. 어깨·배와 첫째 날개깃은 흰색이고, 나머지 부분은 녹색이나 자주색 또는 광택이 나는 검은색이다....
-
조선시대 조정융 등이 희청헌에서의 감회와 나라를 걱정하는 마음을 읊은 칠언율시의 한시. 희청헌(憙晴軒)은 조선시대 양산 관아의 춘설루(春雪樓) 뒤편에 있었으며, 양산군수였던 조신준(曺臣俊)[1573~?]이 지었다고 전한다. 1. 조정윤의 칠언율시 조정융(曺挺融)[1598~?]의 「희청헌 제영」은 전란을 딛고 재건한 희청헌에서의 감회를 노래하였다. 7구와 8구의...
-
경상남도 양산시 북부동에 있었던 조선 중기의 정자 터. 1632년에서 1638년까지 양산군수를 역임한 조신준(曺臣俊)이 세웠던 것으로 전해진다. 이동표(李東標)의 기문이 있었다고 한다. 희청헌은 관사 서쪽의 춘설루 뒤편에 있었다고 한다. 조정융(曺挺融), 조신준(曺臣俊), 권만(權萬), 오하철(吳夏哲), 이만도(李晩燾)가 쓴 제영(題詠)이 전하고 있다. 현재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