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1403112 |
---|---|
한자 | 布川山-比丘- |
영어의미역 | Legend of Five Bhiksu in Pocheonsan Mountain |
분야 |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
유형 | 작품/설화 |
지역 | 경상남도 양산시 원동면 대리![]() |
집필자 | 김국희 |
경상남도 양산시 원동면 대리에서 불교와 관련되어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일연의 『삼국유사(三國遺事)』 권5 「피은」조에 실려 있으며, 1983년에 발간된 『내 고장 전설』에 재수록하였다.
경상남도 양산시 원동면 대리 이천마을 포천산에 사람이 일부러 깎은 듯한 석굴이 하나 있다. 옛날 다섯 비구가 이곳에서 아미타불을 외우며 극락세계를 구한 지 몇 십 년에, 성중(聖衆)이 서쪽에서 와 그들을 맞아갔다. 다섯 비구가 연화의 대좌에 앉아 공중을 날아 가다가 통도사 문 밖에 머무니 모든 중들이 나가서 그들을 보았다. 다섯 비구는 무상고공(無常苦空)의 이치를 설명하고 유해(遺骸)를 벗고 서쪽으로 가버렸다. 유해를 버린 곳에 중들이 정자를 짓고 치루(置樓)라고 했다.
아미타불은 줄여서 미타라고 하는데, 대승불교의 부처 가운데 서방 극락정토의 주인이 되는 부처이다. 아미타불만 지극 정성으로 외워도 극락에 갈 수 있다는 것은 염불을 권면하는 것을 강조한 것이다. 「현호경」에 다른 이에게 염불을 권하면 자기 한 몸을 위한 염불 이상으로 복덕을 누린다는 말이 있듯이, 염불은 불교 포교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해왔다. 따라서 이 설화는 염불을 고취하는 것과 관련하여 전승되었을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