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1403406 |
---|---|
한자 | 東人詩話 |
영어의미역 | The Talk on Poetry Where Daeseongam Hermitage is Having |
분야 | 종교/불교,문화유산/기록 유산 |
유형 | 문헌/단행본 |
지역 | 경상남도 양산시 하북면 용연리 9 |
시대 | 조선/조선 전기 |
집필자 | 조원영 |
문화재 지정 일시 | 2003년 9월 18일![]() |
---|---|
문화재 지정 일시 | 2011년 4월 29일![]() |
문화재 지정 일시 | 2021년 11월 19일 - 동인시화 보물 재지정 |
성격 | 시화집 |
관련인물 | 강희맹(姜希孟)|김수온(金守溫)|최숙정(崔淑精)|양성지(梁誠之) |
저자 | 서거정 |
간행자 | 박시형(朴時衡) |
간행연도/일시 | 1477년(성종 8)![]() |
권수 | 2권 |
책수 | 1책 |
가로 | 21.2㎝ |
세로 | 31㎝ |
소장처 | 대성암 |
소장처 주소 |
경상남도 양산시 하북면 용연리 9
![]() |
문화재 지정 번호 | 보물 |
경상남도 양산시 하북면 용연리 대성암에 있는 조선 전기 목판본 시화집.
양산 대성암 소장 동인시화는 서거정이 우리나라 시인과 그들의 작품을 대상으로 품평한 시화집으로, 1477년(성종 8)에 간행하였다. 주로 신라 때의 최치원, 박인범에서부터 이규보 등 고려 때의 시인을 많이 다루었고, 조선 전기 권근, 변계량 등의 시도 수록하였다. 비교 문학적인 방법으로 중국 당(唐)나라나 송(宋)나라 때의 작품과 비교하였는데, 우리나라의 작품이 전혀 손색이 없다고 주장하였다.
닥종이[楮紙]에 목판본(木版本) 선장(線裝)으로 상, 하 2권 1책이며, 반곽의 크기는 31×21.2㎝이다. 책 앞부분에는 1474년(성종 5)에 쓴 사숙재 강희맹(姜希孟)의 서문과 1475년에 쓴 괴애 김수온(金守溫)의 서문이 있고, 책 끝부분에는 1477년에 쓴 소요재(逍遙齋) 최숙정(崔淑精)과 눌재 양성지(梁誠之)의 발문이 실려 있다. 간행 사업은 서거정의 문인인 최숙정이 주도했던 것으로 보이며, 양성지의 발문에 따르면 밀양부사 박시형(朴時衡)의 주관으로 밀양부에서 간행되었다고 한다.
2003년 9월 18일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397호로 지정되었다가 문화재청으로부터 2011년 4월 29일자로 보물 제1712호로 승격되어 재지정되었다. 초간본의 완본이 전래되는 것이 희소하다는 점과 조선 전기 문학사 및 비평사, 출판사 연구에 귀중한 사료가 됨으로 국가지정문화재로 승격 지정한 것이다.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 고시에 의해 문화재 지정번호가 폐지되어 보물로 재지정되었다.
수정일 | 제목 | 내용 |
---|---|---|
2011.04.29 | 메터 정보 및 본문 수정 | 1) 메터 정보 표준지역 경상남도 양산시 하북면 용연리 산9 ->표준지역 경상남도 양산시 하북면 용연리 9 지역 경상남도 양산시 하북면 용연리 산9 ->지역 경상남도 양산시 하북면 용연리 9 문화재 지정번호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397호 ->문화재 지정번호 보물 제1712호 문화재 지정일 2003년 9월 18일 ->문화재 지정일 2011년 4월 29일 2) 본문 [의의와 평가] 최초의 순수 시화집(詩話集)으로 문학사적 가치가 크며, 전문적인 비평서로 조선 비평 문학을 대표하는 귀중한 문헌이다. ->[의의와 평가] 2003년 9월 18일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397호로 지정되었다가 문화재청으로부터 2011년 4월 29일자로 보물 제1712호로 승격되어 재지정되었다. 초간본의 완본이 전래되는 것이 희소하다는 점과 조선 전기 문학사 및 비평사, 출판사 연구에 귀중한 사료가 됨으로 국가지정문화재로 승격 지정한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