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선 중기 경상남도 양산 출신의 효자. 김득인은 부모에게 효성이 지극하기로 칭송이 자자하였는데, 부친 시묘(侍墓)시에 임진왜란이 일어났으나 적병이 그 행의를 보고 효성에 감복하여 해채(海菜)와 미곡을 보내준 일이 있었다. 이런 일들이 문달(聞達)되어 복호(復戶)를 받고 정려문(旌閭門)이 세워졌다. 정려문이 있었다는 기록이 있으나, 현재는 남아 있지 않다....
-
조선시대 경상남도 양산 출신의 효자. 김려택은 양산 지역 웅촌(현 경상남도 양산시 평산동)에 살았다. 부친상을 당하여 시묘살이를 할 때 호랑이와 개, 쥐 등 세 가지 동물이 김려택의 효성에 감동하여 도와주었다고 한다. 김려택의 효행과 관련한 소문이 널리 알려져, 사후에 나라에서 호조좌랑의 벼슬을 내리고 정려를 세워주었다고 한다. 현재 경상남도 양산시 주진동 산...
-
조선시대 경상남도 양산 출신의 효자. 김정해는 부모가 돌아가시자 6년 상을 치렀다. 남들은 3년 상도 잘 치르지 않는데 여기에 3년을 더하였으니 그 어려움을 이루 다 말할 수 없었다. 원래 3년 상을 치르게 되어 있는 부모상을 6년이나 치렀으니, 이러한 행동 또한 예에 어긋난 것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잘못은 김정해의 효성이 남들보다 뛰어났기 때문이라고 생각하여 양산 지역...
-
조선시대 경상남도 양산 출신의 효자. 어머니가 눈병을 앓다 시력을 잃어 오랫동안 회복하지 못하자 온갖 약을 쓰고 정성을 다하여 북두칠성에게 제사를 지냈더니, 어머니의 눈이 갑자기 밝아졌다. 사람들은 이를 두고 “효성에 감천(感天)하였다”라고 말하였다. 경상도에서 김칠득(金七得)의 효행을 조정에 알려 조세와 부역을 면제받게 하였다....
-
조선시대 경상남도 양산 출신의 효자. 효성으로 부모를 섬기고 형제 사이에 우애를 두텁게 하여 나라로부터 조세와 부역을 면제받았다. 이에 마을에서 사당(祠堂)을 세우고 봄과 가을에 제사를 지냈다. 역의 관리인 역승(驛丞)을 역임하였다....
-
조선 중기 경상남도 양산 출신의 효자. 본관은 달성(達成). 초명은 기륜(紀倫)이고, 자는 덕행(德行). 할아버지는 원종공신 서중룡(徐仲龍)이며, 서정태의 아들은 영조 때에 가선대부를 제수 받은 서효기(徐孝基)이다. 서정태에 관련한 이야기는 『조선환여승람(朝鮮寰輿勝覽)』 효자조에 수록되어 있다. 학문과 문장이 뛰어났으며, 수오(睡獒) 서석린(徐錫麟)의 문인이기도 하였다....
-
조선 후기 경상남도 양산 출신의 효자. 본관은 달성(達成). 자는 대칙(大則), 호는 상계(桑溪). 증조할아버지가 원종공신 서중룡이며, 아버지는 숙종 때 효성으로 이름이 높았던 서정태이다. 서효기와 관련한 이야기는 『조선환여승람(朝鮮寰輿勝覽)』 효자조에 아버지 서정태와 함께 수록되어 있다. 서효기는 집안의 효성을 이어받았으며, 유학으로 학문을 아울러 갖추었다. 아버지 서...
-
조선시대 경상남도 양산 출신의 효자. 예취신은 열 살도 되지 않은 어린 나이에 어머니가 병이 들자, 3년 동안 항상 대변을 맛보고 병세의 호전 여부를 살피더니 급기야 병이 위독하자 자신의 손가락을 잘라 피를 먹이어 어머니를 회생케 하였다. 어머니가 돌아가시자 묘 옆에 오두막집을 짓고 죽으로 연명하며 효성을 다하니 나라에서 조세와 부역을 면제해 주었다....
-
조선시대 경상남도 양산의 효자. 일찍부터 효성이 남달라 무덤 옆에 오두막집을 짓고 시묘를 지냈다. 오로지 학문에만 마음을 두었으며, 특히 성리(性理)에 밝아 마을 사람들은 그를 양주(梁州)[지금의 양산]의 숨어 사는 뛰어난 선비라고 칭찬하였다....
-
조선시대 경상남도 양산 출신의 효자. 윤빙삼은 시서를 많이 읽고 재주 또한 특출하였으며, 성품이 어질고 부지런하며 부모를 모시는 일이 남달랐다 한다. 불행히 일찍 아버지를 여의자 어머니를 더욱 지성으로 모셨다. 어머니가 오랫동안 병중에 있을 때 입에 맞는 음식을 올리고 대변을 맛보아 병세를 징험하였으며, 혼절한 어머니를 단지 수혈하여 다시 회생시켰다. 동네사람들이 이 사...
-
조선시대 경상남도 양산 출신의 효자. 이규는 천성이 지극히 효성스러워서 외출할 때 반드시 부모에게 행방을 고하였고, 살림이 어려워도 섶을 팔아 부모를 공양했다. 아버지가 병상에서 생배를 원할 때도 한겨울에 이를 구하여 공양하였고, 어머니가 병중에도 생어(生魚)를 들고 싶어하면 구하여 드렸으며 손가락을 잘라 수혈해가며 봉양하였다. 부모가 돌아가시자 3년간 묘를 지켜 사람들...
-
조선 중기 경상남도 양산 출신의 효자. 본관은 양산(梁山). 조선 전기 세종 때에 여진족을 토벌한 공신이며 중추부사·평안도절제사·병조판서 등을 역임하였던 이징옥(李澄玉)의 8세손이다. 이우춘은 조선 중기 양산 지역의 인물로 평소 자신의 집안에서 부모에 대한 효도와 형제간의 우애 등 도리를 지키는 것에 있는 힘을 다하였다. 부친이 위독함에 손가락을 베어 그 피로 회생하도록...
-
조선 후기 경상남도 양산 출신의 효자. 본관은 성주(星州). 자는 경인(敬仁), 호는 인수당(忍叟堂). 고려시대의 훈신(勳臣)인 이인복(李仁復)의 후손이며, 할아버지는 음직(蔭職)으로 통정대부(通政大夫)를 하사받은 이석복(李錫馥)이다. 이홍민은 타고난 성품이 지극히 효성스러워 계모를 몸과 마음으로 극진히 섬겼으며, 평소에 남에게 화를 내는 기색이 조금도 없었다. 이에 양...
-
조선 후기 경상남도 양산 출신의 효자. 본관은 평택(平澤), 자는 무겸(武兼). 증조부는 양산 지역의 문행(文行)으로 알려진 임영대(林榮大)이며, 임영대의 아버지는 양산 지역의 유일(遺逸)로 알려진 임경택(林景澤)이다. 임경택의 할아버지는 양산 사람으로서 사마시에 합격한 후 벼슬을 하지 않은 유생 임도(林度)이다. 임도의 증조부는 충정공(忠貞公) 임언수(林彦修)의 후손으로서 광해군...
-
조선 후기 경상남도 양산 출신의 효자. 본관은 나주(羅州). 자는 영백(榮伯), 호는 삼회(三悔). 조선 중기의 시인인 백호(白湖) 임제(林悌)의 후손이다. 임종하는 뜻과 행실이 굳고 지극했으며, 어버이를 섬기는 것이 효성스러웠다. 어머니가 병이 나자 봄과 여름에는 그물로 물고기를 잡고, 가을과 겨울에는 돌과 쇠뇌로 짐승을 잡아 하루도 빠뜨리지 않고 고기를 밥상에 올려...
-
조선시대 경상남도 양산 출신의 효자. 본관은 인동(仁同). 자는 우성(遇聖). 고려시대 밀직부사(密直副使) 장순(張純)의 후손이다. 장재문은 타고난 성품이 효성스러워, 부모님을 몸과 마음으로 잘 받들었다. 아버지가 병에 걸렸을 때 꿩고기를 먹고 싶어 하였다. 장재문이 하늘에 빌고 산에 기도를 드렸더니 날아가던 꿩이 갑자기 뜰로 뛰어들어 왔다. 이를 잡아서 아버지께 드렸더...
-
조선 중기 경상남도 양산 출신의 효자. 본관은 나주(羅州). 자는 효순(孝順), 호는 경와(耕窩). 정재(正齋) 정지송(丁之松)의 후손이며, 아버지는 양산 지역의 유일(遺逸)로 이름난 정득(丁得)으로 임진왜란 때 김해 지역에서 양산 지역으로 피난해 와서 정착하였다. 형은 양산의 유행(儒行)으로 알려진 정명희(丁鳴稀)이다. 정명석은 평소에 효성과 우애가 깊고 덕행이 높아...
-
조선 후기 경상남도 양산 출신의 효자. 본관은 나주(羅州). 자는 우관(友寬), 호는 농암(農菴). 정재(正齋) 정지송(丁之松)의 후손이며, 양산 지역에서 유일(遺逸)로 이름난 정득(丁得)의 후손이다. 증조부는 양산의 유행(儒行)으로 알려진 정명희(丁鳴稀)이며, 아버지는 양산이 낳은 효자로 칭송되는 정남실(丁南室)이다. 정서언은 아버지 정남실(丁南室)의 효성을 이어받았고...
-
조선 중기 경상남도 양산 출신의 효자. 조선 중기 경상남도 양산 지역에 살던 정승우는 임진왜란 전에 왜구에게 잡혀서 일본의 비전주(肥前州)로 팔려갔다. 객지 일본에서 정승우는 72세 노모의 생사에 대한 걱정으로 식사 때마다 상에 올라온 고기를 먹지 못하였다. 왜인이 이를 보고 정승우의 효성에 감동하여 양식과 배를 마련하여 고향으로 돌려보내 주었다. 고향에 돌아와서 살던 정승우는 임...
-
조선 후기 경상남도 양산 출신의 효자. 본관은 나주(羅州). 초명은 규열(奎烈), 자는 남서(南瑞), 호는 매촌(梅村). 조선 중기의 인물인 고암(顧庵) 정윤희(丁胤禧)의 후손이다. 정임교는 천성이 지극히 효성스러웠다. 부모의 상을 당하여 강을 건너 묘지를 살피러 가는데, 얼어붙은 얼음이 저절로 녹아 배로 건너갈 수 있게 된 기이한 일이 있었다고 전한다. 이러한 까닭으로...
-
조선시대 경상남도 양산 출신의 효자. 본관은 동래(東萊). 자(字)는 성숙(成淑). 절의(節義) 정응진(鄭應珍)의 후손이며, 정상학(鄭商學)의 아들이다. 정창모는 모친을 잃고 계모를 섬김에도 지극한 효성을 다하였고, 부친이 발찌(목 뒤 머리털이 난 가장자리에 생기는 부스럼)를 앓을 때에는 농즙(濃汁)을 입으로 빨아내어 낫게 하였다. 평소 가난하여 신을 삼아 팔고, 부인...
-
조선 후기 경상남도 양산 출신의 효자. 본관은 동래(東萊). 자는 기여(琪汝). 선무원종훈(宣武原從勳) 정언룡(鄭彦龍)의 후손이다. 정창수는 천성이 매우 효성스러웠다. 아버지가 격일로 오한이 일어나는 학질에 걸렸는데 “이 병에는 사람고기가 제일 좋다.”는 의원의 말을 듣고 단(壇)을 쌓고 하늘에 기도하고 나서, 몰래 방에 들어가 자신의 허벅지 살을 베어 미음과 섞어 먼저...
-
조선시대 경상남도 양산 출신의 효자. 본관은 경주(慶州). 자는 한업(翰業). 아버지는 사과(司果) 최혁수(崔奕壽)이다. 최현업은 집이 가난하여 아내와 함께 농사일을 하였다. 어느 날 집으로 돌아와 보니, 아이가 우물 속에 떨어져 죽어 있었다. 곧바로 아이를 건져내고 아이의 목숨에는 관계가 없다고 거짓으로 말하여 부모를 안심시켰다. 다행히 얼마 후에 아이가 다시 살아나니...
-
조선시대 경상남도 양산 출신의 효부. 박씨는 통정대부(通政大夫) 김시명(金時鳴)의 처(妻)이다. 박씨는 시부모를 극진히 섬긴 것으로 칭송이 자자하였다. 시아버지가 병이 들어 맛있는 버섯을 먹고 싶어 하였지만 구하기가 어려웠는데 마침 뒤뜰의 뽕나무에 버섯이 나 있는 것을 발견하고 이를 채취하여 드렸다. 버섯을 따면 그 자리에 또 다시 돋아나곤 하여 시부모님이 돌...
-
조선시대 경상남도 양산에서 화적에 맞서 가족을 지킨 여인. 1832년의 읍지에 실려 있지 않은 사실이 1878년 간행된 『양산읍지(梁山邑誌)』에 실린 것으로 보아 1832년부터 1878년 사이의 일로 보인다. 나수원의 누이 나씨는 신유년 여름 양산군에 화적이 침입했을 때, 처녀의 몸으로 자신의 목숨을 돌보지 않고 오라버니와 조카의 목숨을 살렸다고 한다. 모든 군민들이 그...
-
조선시대 경상남도 양산 출신의 열녀. 본관은 인동(仁同), 장학석(張鶴碩)의 딸로 심상순(沈相舜)의 아내이다. 인동 장씨는 시할아버지와 시할머니를 섬기는데 정성을 다하였다. 남편이 내장에 종기가 생겨 고통스러워하자 하늘에 빌며 자신이 대신 앓겠다고 하였다. 그런데 어느 날 숭어를 잡는 꿈을 꾸고는 병이 곧바로 나았다. 남편이 죽자 조용히 시체를 끌어안고 남편을 따라 죽었...
-
조선 후기 경상남도 양산 출신의 열녀. 임씨의 본관은 풍천. 아버지는 임광세(任光世)이며 남편은 안경로(安景魯)이다. 임씨는 남편 안경로와 혼례는 갖추었으나 우례(于禮: 신부가 처음 시가를 들어가는 예식)를 하지 않고 남편만 집으로 돌아갔다. 신랑을 떠나보내고 우례할 날을 고대하며 준비에 분주하였을 때 떠난 지 하루가 못되어 신랑이 별세했다는 급한 기별이 있었...